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관찰과 소통이 강조된 과학 탐구 수업에서 과학 영재들의 통합 탐구 능력과 관찰과 소통 관점에서 학생들의 수업 인식

이용수  28

영문명
Integrated Inquiry Ability of Science Gifted Students in Science Inquiry Class Emphasizing Observation and Communication, and Students’ Perceptions of Class from the Perspective of Observation and Communication
발행기관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저자명
김효원(Hyowon Kim) 최원호(Wonho Choi)
간행물 정보
『과학영재교육』제16권 제2호, 145~161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8.31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관찰과 소통이 강조된 가설 검증 탐구 수업에서 중학교 과학 영재 학생들의 문제 인식, 가설 설정, 변인 통제의 탐구 능력의 수준과 관찰과 소통 관점에서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수업은 과학 영재들이 관찰과 소통에 지속적으로 참여하도록 구성되었으며, 수업 종료 후 제출한 학생들의 활동지 분석을 통해 많은 과학 영재들의 문제 인식, 가설 설정, 변인 통제 능력이 낮음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의 과학 영재들은 관찰과 소통이 탐구 수행에 도움이 되었다고 인식하였고, 관찰 활동은 연구 대상의 특징을 잘 이해하도록 도와 종속 변인의 관찰과 탐구 전반적으로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소통 활동을 통해 가설이나 탐구 방법을 보완하고 생각의 폭을 넓힐 수 있었기 때문에 기존에 해결하지 못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학생들은 가설을 검증하여 결론을 도출하는 과정에 본 연구의 수업에서 강조한 관찰이나 소통 활동뿐만 아니라 가설 설정이나 탐구 설계 및 수행 활동 등도 긍정적으로 영향을 주었다고 응답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evel of problem recognition, hypothesis setting, and variable control exploration ability of middle school science gifted students in hypothesis verification exploration classes emphasizing observation and communication, and students’ perceptions of class from perspective of observation and communication. The class of this study is designed for science gifted students to continue to participate in observation and communication, an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tudents’ reports submitted after the class, it was confirmed that many science gifted students have low level ability of problem recognition, hypothesis setting, and variable control. However, the scientific gifted students of this study recognized that observation and communication helped to conduct inquiry, and that observation activities help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 and to solve the problem in general. In addition, it was recognized that communication activities helped solve previously unresolved problems because they were able to supplement hypotheses and inquiry methods and broaden their thinking. In addition, students responded that not only the observation and communication activities emphasized in the class of this study, but also hypothesis setting, inquiry design and performance activ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rocess of verifying the hypothesis and drawing conclusion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효원(Hyowon Kim),최원호(Wonho Choi). (2024).관찰과 소통이 강조된 과학 탐구 수업에서 과학 영재들의 통합 탐구 능력과 관찰과 소통 관점에서 학생들의 수업 인식. 과학영재교육, 16 (2), 145-161

MLA

김효원(Hyowon Kim),최원호(Wonho Choi). "관찰과 소통이 강조된 과학 탐구 수업에서 과학 영재들의 통합 탐구 능력과 관찰과 소통 관점에서 학생들의 수업 인식." 과학영재교육, 16.2(2024): 145-16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