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남’의 의미적 특성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f Semantic Features of Korean Referential Pronoun ‘남’(Nam)
발행기관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저자명
이홍매(Hong-Mei Li)
간행물 정보
『한국언어문화학』제7권 제2호, 149~169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12.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Nam”(남) is used to refer to some other people except the certain person which plays the role as a reference. The investigation of “nam” can be divided in to two parts; the first part isbased on the reference object which can be speaker, listener or other clear object -“Uri”(우리) the other part refers the reference object when it’s unclear. When the reference object is clear, “Nam”(남) can expresses the psychological distance outside the coverage field besides the reference object. Therefore, “Nam” can achieve the special pragmatic effect in a particular sentence which other personal pronouns such as “Na”(나), “Neo”(너) cannot express. In addition, when the speaker treat a random object with certain special characteristics as a reference object, the speaker will also express his attitude to “Nam”.

영문 초록

목차

1. 서론
2. 명시적인 대상을 기준으로 할 때
3. 비명시적인 대상을 기준으로 할 때
4. ‘남’과 ‘다른 사람’ 및 ‘외인(外人)’의 구별적 쓰임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홍매(Hong-Mei Li). (2010).‘남’의 의미적 특성 연구. 한국언어문화학, 7 (2), 149-169

MLA

이홍매(Hong-Mei Li). "‘남’의 의미적 특성 연구." 한국언어문화학, 7.2(2010): 149-16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