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이공계 고급인재 유학생의 한국어 학습의 필요성에 대한 고찰

이용수  87

영문명
A Study on the Necessity of Korean Language Learning for Advanced International Students in Science and Engineering
발행기관
한국비교교육학회
저자명
장지은(Jieun Jang) 오민석(Min-Suk O) 오정은(Jung-Eun Oh)
간행물 정보
『비교교육연구』제34권 제4호, 181~207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국가 간에 잦은 인구이동을 통하여 다문화 공생의 과제가 사회적으로 부각되는 가운데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 유학하는 고급인재 유학생의 유학생활 만족도와 적응의 어려움 등을, 한국어 학습 경험에 따라 차이를 규명하여 한국어 학습지원과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어 학습 집단과 비학습 집단에 의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하여 852명의 해외 고급인재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 결과를 가지고 t 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결과] 한국어 학습 유무나 한국어 사용 유무는, 유학생활 만족도에 있어서 대학에서의 수업이나 학교 행정, 나아가 경제적 자원 조달 관련한 공적 영역의 유학생활 만족도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없다. 그러나 개인 생활의 차원이 되면, 건강과 안위, 그리고 일상생활 전반에서, 만족도에 있어서나 적응의 어려움에 있어서나 한국어 학습 및 사용 유무에 따른 집단 간 차이가 높게 나타났다. 즉 한국어 학습 집단, 그리고 한국어 사용 집단의 만족도가 높고 생활 적응에서의 어려움이 낮은 점이 분명하게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유학생이 주류사회의 언어를 학습하고 사용하는 것이 주류사회의 내부적 이해와 공감 그리고 적응력을 키우고 궁극적으로 정착을 통한 다문화 공생에 이바지할 수 있음을 보여주며 한국어 학습 지원 방향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Purpose] Increasing population movements between countries have made the challenges of cultural diversity and multicultural coexistence a major social issue. This study examined the satisfaction of highly talented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and some of the difficulties they face in the adaptation process. [Methods] This study explored the experiences of high-performing international students at a South Korean university, specifically examining differences in satisfaction between the students that learned some Korean and those that did not. A t-test analysis of survey responses from 852 students revealed some significant disparities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While both groups reported similar levels of satisfaction with the academic and administrative aspects of university life, the members of the Korean-learning group exhibited significantly higher satisfaction and far fewer difficulties in their personal lives than the non-learning group. Specifically, Korean learners cited higher levels of satisfaction with regards to health, safety, and daily life in general, and less difficulty in adapting to life in Korea. [Conclusion]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language proficiency in fostering successful adaptation and facilitating greater understanding, empathy, and adaptability among international students. Ultimately,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language acquisition can contribute to more harmonious and inclusive multiculturalism in the host society, and in Korea this carries implications for the importance of supporting Korean language learning among international students and other foreign residen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Ⅵ. 마무리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지은(Jieun Jang),오민석(Min-Suk O),오정은(Jung-Eun Oh). (2024).이공계 고급인재 유학생의 한국어 학습의 필요성에 대한 고찰. 비교교육연구, 34 (4), 181-207

MLA

장지은(Jieun Jang),오민석(Min-Suk O),오정은(Jung-Eun Oh). "이공계 고급인재 유학생의 한국어 학습의 필요성에 대한 고찰." 비교교육연구, 34.4(2024): 181-20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