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설문조사에서 개인화된 피드백 제공의 이론과 활용
이용수 260
- 영문명
- Personalized Feedback in Survey: Theories and Applications
- 발행기관
- 한국인사관리학회
- 저자명
- 마성혁(Sunghyuck Mah) 김자영(Jayoung Kim) 이유우(Yoowoo Lee) 이동환(Donghwan Lee)
- 간행물 정보
- 『조직과 인사관리연구』제48집 3권, 111~145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경영학의 인사조직 분야를 비롯한 제반 사회과학 분야에서 활발히 사용되고 있는 연구방법론인 설문조사에서, 참여자 개개인에게 자신의 응답에 따른 개인별 맞춤 분석 결과, 즉, 개인화된피드백(personalized feedback)을 제공하는 것의 역할과 효과, 그리고 활용 방안에 대하여 논한다. 주로 의학 분야에서 참여자들의 건강 추적관리와 행동 개선을 위해 활용되어 온 개인화된 피드백을연구방법론적 시각에서 분석하여 그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구체적인 활용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주요 목적으로 한다.
자기 자신(self)에 대한 정량적 측정과 이해에 대한 미디어와 대중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을 고려할 때, 개인화된 피드백의 제공이 설문조사 참여자들의 성실한 응답에 대한 동기를 높이는 유용한 인센티브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이를 살피기 위하여, 먼저, 개인화된 피드백의 효과에 관한 이론 및 기존 연구 결과들을 고찰한다. 또한, 실제 인사조직 분야의 연구 맥락에서 개인화된 피드백의 제공이 응답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적으로 검증한다. 마지막으로, 연구 맥락 및 기업 현장의 HR 맥락에서개인화된 피드백을 효과적 활용할 수 있는 방안들을 제시하고, 실제 작성에 도움이 되는 엑셀 활용법을공유한다. 나아가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해 연구자들은 자신의 연구가설을 검증하는 효용을 얻는만큼, 설문조사 참여자들 또한 자기 이해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상생적 패러다임에 대한학계와 실무자들의 관심을 제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discuss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actical applications of providing personalized feedback in surveys, a research methodology widely used in the social sciences, including business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behavior. The major goal is to evaluate the utility of individualized feedback from a methodological standpoint, as opposed to typical monitoring and improvement goals in medical and educational settings, and to present theoretical findings and applications. Given the growing public and media interest in quantitative self-assessment and knowledge, providing individualized feedback in surveys could be a significant incentive to encourage participants to reply honestly and with care. To investigate this possibility, this study first examines theories, including general motivation, specific survey response theories, and past research findings. It then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effect of personalized feedback on response quality (i.e., the degree of careless responding) in the context of organizational behavior research. Finally, this study shares methods for utilizing personalized feedback within the research context and practical HR settings, including the creation and distribution processes using Excel. Furthermore, this study aims to pique academic and practitioner interest in a synergistic paradigm that not only confirms research hypotheses through surveys but also increases participants’ interest and selfunderstanding, taking into account the benefits to participants as well.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 설정
Ⅲ. 탐색적 실증연구: 개인화된 피드백이 응답의 질에 미치는 영향
Ⅳ. 연구맥락에서 개인화된 피드백의 활용 방안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일류기업(Great Company Research) 제2권 제1호 목차
- 다함께 돌봄사업 홍보영상에 대한 브랜드 포지셔닝 연구
-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of Brand Value: Korean Ginseng and Changbai Mountain Ginseng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