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비만과 신체활동, 흡연이 폐쇄성수면무호흡증에 미치는 영향: 2022년 국민건강영양조
이용수 63
- 영문명
- Effects of Obesity, Physical Activity, and Smoking on Obstructive Sleep Apnea: A Study on the 202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발행기관
- 대한심장호흡물리치료학회
- 저자명
- 김도현(Do-hyun Kim)
- 간행물 정보
- 『대한심장호흡물리치료학회지』제12권 제2호, 27~31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재활의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7.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Purpose: The curr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obesity-related factors (including body mass index, neck circumference, and waist circumference), smoking habits, and physical activity and obstructive sleep apnea (OSA).
Methods: Data on body mass index, neck circumference, waist circumference, smoking habits, physical activity, and OSA were collected from 3,689 adults aged ≥ 40 years who participated in the 2022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independent samples t-test was used to compare individuals with OSA and those without based on neck circumference, waist circumference, body mass index, and high-intensity physical activity. The chi-square test was utilized to assess the correlation between smoking habits and OSA.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 0.05.
Results: Individuals with OSA and those without significantly differed in terms of neck circumference, body mass index, and smoking habits (p<.05).
Conclusion: Patients with OSA had a larger neck circumference and greater body mass index and were more likely to smoke than healthy adults. Therefore, neck circumference, body mass index, and smoking habits must be managed to control OSA symptoms.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호흡운동 적용에 따른 COVID-19 경험 환자의 심폐기능 분석
- 일반 흡기 및 최대 흡기압 시 목빗근의 역할과 근활성도 분석 연구
- 대한심장호흡물리치료학회지 제12권 제2호 목차
- 신경계 물리치료 직무수행 시 마스크 착용 유무가 물리치료사의 심혈관계 반응, 폐 기능 및 직무 피로도에 미치는 영향
- 오므린 입술호흡 훈련이 천식이 있는 스쿠버 다이빙 교육생의 폐기능에 미치는 효과(예비연구)
- 축구 포지션에 따른 폐활량, 무산소성 운동능력 및 체력의 비교 분석
- Post COVID-19 노인환자의 호흡운동 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Effect of Respiratory Muscle Stretching on Pulmonary Function and Balance and Trunk Control Ability in Patients with Stroke
- 비만과 신체활동, 흡연이 폐쇄성수면무호흡증에 미치는 영향: 2022년 국민건강영양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