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scriptive Review of the Registers of Similar Grammatical Expressions “ege,” “hante,” “egeseo,” and “hanteseo”
- 발행기관
- 한국어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백재파(Jae-pa Baek)
- 간행물 정보
- 『한국어문화교육』제15권 1호, 46~65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7.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사 문법 항목 ‘에게’, ‘한테’, ‘에게서’, ‘한테서’의 사용역에 따른 분포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전 및 문법서 기술에서 수정 보완해야 할 지점을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구어/문어, 격식/비격식 사용역에 따른 말뭉치를 구성하고 각 사용역에서의 분포를 분석한 후, 분포 차이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G2 값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사전 및 문법서에서 ‘한테서’는 구어적 표현 이라고 기술되었지만, 분포를 분석한 결과 문어적 표현이라고 나타났다. 둘째, 사전에서 ‘에게’와 ‘에게서’에 대한 구어/문어 사용역 정보가 기술되지 않고 있지만, 문어성이 강하므로 사용역 정보 를 기술할 필요가 있다. 셋째, 사전에서 ‘에게’와 ‘에게서’에 대한 격식/비격식 사용역 정보가 기술되지 않고 있지만, 구어 격식성을 가지고 있는 나타나 이를 사전에서 기술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stribution of similar grammatical expressions, “ege,” “hante,” “egeseo,” and “hanteseo,” based on the registers; critically review their descriptions in dictionaries and grammatical books; and edit them and suggest improvement. To reach these goals, the study constructed spoken and written, formal and informal corpus and analyzed the frequency of their usage. Then, it tested their statistical significance using the G2 test.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dictionary and grammatical books depict “hanteseo” as a colloquial expression, but it turned out to be more literary. Second, the registers of “ege” and “egeseo” is not depicted in the dictionary. However, they should be considered as literary as they have strong literary properties. Third, the registers of their formal or informal registers not depicted. However, the formal-colloquial property of “ege” and “egeseo” needs be described in the dictionar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s information on the registers of similar grammatical expressions and suggests a possible solution of application to dictionaries and grammatical books by utilizing objective methods considering “ege,” “hante,” “egeseo,” and “hanteseo” as examples.
목차
1. 서론
2. 사전 및 문법서에서의 사용역 기술 현황
3. 사용역에 따른 분포 분석
4. 결론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일 국제 공동수업에서의 문화 간 대화와 교사 성장
- 일본에서는 전쟁을 어떻게 가르치는가?: 사회과 교과서에 반영된 ‘오키나와전’을 중심으로
- 学習者参加型評価に関する一考察: 韓国の大学授業における他者評価を中心に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