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mparison of South and North Korean arts and cultural education methods: Focusing on articles published by government magazines
- 발행기관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 저자명
- 유선아(Suna You) 박주연(Ju Yeon Park) 신형덕(Hyung-Deok Shin)
- 간행물 정보
- 『유라시아연구』제16권 제3호, 21~3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9.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남북한의 교류협력과정에서 중요한 가치 중 하나는 상호이해이다. 그 과정에서 문화예술이 구성원의 일체감을 지속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독일의 통일 과정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주민의 일상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는 문화예술은 교육을 통해 대중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다.
각기 다른 체제를 취하고 있는 남북한은 문화예술교육의 목표에도 차이가 있다. 북한의 문화예술교육은 당의 주체적 미학사상으로 무장하여 사회주의 건설에 이바지한다는 것을 궁극적인 목표로 삼으며 이것은 남한의 문화예술교육의 목표와는 매우 다르다. 그러나 일상적인 문화예술교육 활동의 차원에서 바람직하게 여겨지는 문화예술교육방법은 남북한의 정치적 지향점에 반드시 종속되지는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창의적인 예술인을 양성하거나 전문적인 기량을 육성하는 등 문화예술교육의 세부 교육방법은 남북한의 정치적 체제에 얽매이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연구는 교육정책, 교육과정 차원에서 주로 이루어진 기존연구에서 벗어나 실제 남북한의 문화예술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교육방법을 살펴보고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남북한 잡지에서 바람직한 문화예술교육 현장을 취재한 뒤 소개하는 기사를 추출하여 남북한이 지향하는 일상적인 문화예술교육방식을 비교하였다. 분석에 사용한 자료는 남북한 정부간행물 중 남한의 교육부에서 발행하는 ‘행복한 교육’과 북한의 2.16예술교육출판사에서 발행하고 있는 ‘예술교육’이며 총 99개의 기사를 추출하여 분류기준에 따라 비교했다.
그 결과, 남한은 북한에 비해 전문적 기량 학습에 대해, 북한은 남한에 비해 자율적 학습을 더 강조했다는 흥미로운 결과를 발견했다. 또한 북한의 일상적 문화예술교육은 북한의 예술교육 기본지침인 ‘사회주의 예술교육방법’에서 제시하고 있는 항목보다 훨씬 다양한 방법에서 이루어지고 있다는 사실도 발견하였다. 이러한 비교를 통해 본 연구는 남북한 문화예술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실제적인 교육방법을 제시하였고 이는 통합 과정에 대해 시사점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One of the important values in the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process is mutual understanding. In the process, it can be seen in the process of German unification that culture and art can play a role in maintaining the unity of members. In addition, cultural arts,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the daily lives of the inhabitants, can change public perception through education.
The two Koreas, which have different systems, have different goals for cultural and arts education. The ultimate goal of North Korea’s cultural arts education, armed with the party’s subjective aesthetic ideology, contributes to the construction of socialism, which is very different from the goal of cultural arts education in South Korea. However, cultural arts education methods, which are considered desirable in terms of daily cultural arts education activities, may not necessarily be subject to the political orientation of the two Koreas. For example, detailed educational methods of cultural arts education, such as fostering creative artists or fostering professional skills, can be achieved without being tied to the political systems of the two Korea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analyze the educational methods in the actu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sites of the two Koreas, instead of the existing researches mainly made in terms of educational policy and curriculum. To this end, this study compared the daily culture and arts education methods of the two Koreas by extracting the articles introduced by covering the desirable culture and arts education sites in the North and South Korea magazines. The data used in the analysis were ‘Happy Education’ issued by the South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and ‘Art Education’ published by the 2.16 Art Education Publishers in North Korea. A total of 99 articles were extracted and compar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criteria.
As a result, South Korea found an interesting finding that North Korea placed more emphasis on professional skills than North Korea, and North Korea emphasized autonomous learning compared to South Korea. It was also found that everyday cultural and arts education in North Korea is carried out in much more ways than the items suggested by the socialist arts education method. Through this comparison, this study suggested practical education methods in the field of cultural arts education of the two Koreas, and suggests implications for the integration process.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Ⅲ. 사례분석
Ⅳ. 결론과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남북한 문화예술교육방법의 비교: 정부간행 잡지 기사를 중심으로
- The Relationship between Labor Union Strikes and Earnings Management from Korean Evidence
- Power Distance Orientation, and LMX Quality on Workplace Voice in China
- Research on Government Social Capital Management of Chinese Cultural Enterprise: Taking the development history of Rongbaozhai as an example
- 재정패널 자료를 활용한 한국의 개인기부 규모 추정
- 순위반응모형을 이용한 주택연금의 잠재시장 규모 추정
- 중국 하이테크산업의 R&D투자 효율성 및 생산성 분석
- 가계부채가 가계소비와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거시자료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창끝전투 제2권 제3호 목차
- PMESII-DIME 기반의 북한 회색지대전략 분석과 국가 안보적 대응 고찰
- 현 KCTC 과학화훈련체계 제한사항 분석을 통한 차세대 Live 훈련체계 개발 방향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