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신체적 배역 접근

이용수  0

영문명
Developing Characters through Physical Approach: Methods on Using ‘Action Verbs’ in Korean Actor Training
발행기관
아시아.유럽미래학회​
저자명
강민재(Min-Jae Kang)
간행물 정보
『유라시아연구』제15권 제1호, 193~213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3.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20세기 들어 유럽을 중심으로 연기를 접근함에 있어 신체적 행동이 그에 상응하는 내면의 정서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개념이 도입되었다. 그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연기훈련 분야에서 국제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여러 연출가 및 지도자들이 훈련체계와 원리에서 신체의 활용을 통한 행동에 중심을 두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국내 배우들은 연기를 접근함에 있어 여전히 정신과 심리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는데, 그 이유 중 하나로 스타니슬라브스키의 시스템에 관한 오해를 들 수 있다. 스타니슬라브스키의 훈련법을 전기와 후기로 나누었을 때 전기에는 정신과 심리에 집중하였지만 후기에는 신체적 행동방법을 정립하며 신체의 활용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정치적, 개인적 상황으로 인해 후기 이론이 구소련 밖으로 전파되는 것이 늦어졌고, 때문에 여전히 많은 배우들은 신체적 연기 접근을 자연스럽지 않은 것으로 인식한다. 본 연구는 행동이 능동의 동사로 정의되어야 한다는 스타니슬라브스키의 주장에 근거하여 국내 교육과 실제 현장의 현실에 맞게 행동 동사를 활용한 신체적 배역 접근 방안을 제시하고 그 효용성을 탐구한다. 행동 동사는 그 단어 자체로 고유의 리듬과 방향성, 그리고 에너지를 내포하기에 배우로 하여금 자극을 받아 움직이게 할 수 있는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선택된 동사는 신체적으로 행할 수 있어야 하고, 명확해야 하며,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볼 수 있어야 그 의미를 상실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상응하여 제시된 신체적 배역 접근 방법은 신체적 제스처・호흡・대사의 의도・자신의 언어로서의 체화 등 다각적 활용 절차를 유도한다. 텍스트 분석 단계에서 상상력을 동원하여 대본에 접근하고 장면과 극중인물을 시각화하고 역할의 행동을 파악하고 크고 강력한 신체 제스처를 통하여 배역의 행동을 체험하는 방식은 미카일 체홉의 ‘심리 제스쳐’와 비슷한 점을 갖는다. 그러나 본 연구의 방식은 의도가 다르다는 점에서 체홉의 방법론과 근본적으로 차별성을 지닌다. ‘심리 제스처’는 인물의 욕구와 열망을 파악하여 이를 직관적으로 압축된 형태의 제스처를 찾음으로써 배우가 배역의 정신적 세계에 대한 단서를 제공받는 것이다. 이에 반해 본고에서 제시하는 방법은 인물의 목표나 욕구를 제스처에 표현하는 것이라기보다는 상상의 이미지 작업을 통하여 파악된 인물 자체의 행동을 동사로 정의하고, 이 행동 자체를 제스처로 행함으로써 인물 정서의 실마리를 찾고, 이것이 통합되어 인물의 목표 또한 결과적으로 파악되게 되는 방식이라 할 수 있다. 즉,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접근 방식의 순서를 바꾸어, 본 연구는 텍스트에서의 주어진 상황 하에서 외부적 표현을 신체적 행동을 취함으로 해서 인물의 정서와 더 나아가 인물의 목적까지 인식하는 방법을 살펴본다. 본 연구는 역할 창조라는 연기 분야에 있어 모든 과정이 아닌 신체적 접근을 통하여 배역의 행동을 체험하는 과정에 대한 고찰이다. 연구자는 이 과정을 보다 효과적으로 인물 구축에 적용시키기 위하여 배역이 취하는 행동과 그 이유를 파악하여 배역과 공감하는 절차인 정당화 과정을 추천한다. 행동 동사의 선택에 따라 배우가 신체적 제스처를 취할 때, 해당 동사와 행동이 상대에게 자극을 줄 수 있느냐의 여부도 중요하지만, 반대로 자신이 취하고 있는 동사와 행동이 상대에 대한 리액션이라는 인식도 필수적이다. 국내의 연기 훈련 방법론이 정신과 심리를 강조하는 경향으로 기운 상황에서 본 연구가 제시하는 방법은 신체를 통해 배역에 접근하는 방법론을 제시한다. 본고를 통하여 신체적 접근 방법이 활성화되어 연기 교육이 더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Since directors and theorists have believed that physical action can evoke emotional transformations in actor training in the 20th century, numerous internationally acclaimed directors have emphasized physical approaches in actor training. However, in reality, the early Stanislavski psychological approach is widely utilized in actor training because of misgivings on his works. Although Stanislavski himself moved towards physical approaches later in his works, only his earlier works were translated and imported to Korea because of political and personal issues and therefore his physical approaches are often overlooked. This study examines a physical approach based on Stanislavski’s theory that action must be defined by an active verb. An action verb should have its own rhythm, direction, and energy to allow an actor to move forward. It should be physical, clear, and moreover it should provide insight into important elements. Utilizing imagination to approach the text and visualizing characters to understand the actions of characters through physical gestures may seem similar to the methods of Michael Chekhov. However, the methodology proposed in this study is fundamentally different than that of Chekhov’s as the latter first analyzes the psychology of the characters to look for a psychological gesture whereas this study uses physical gesture to find clues to the character’s emotions and motivations. This approach allows actors to not only affect other actors in role through the physical actions but also react to other characters’ actions through physical action. This process allows for a more dynamic and in-depth training. Such physical approach to acting based on this method is useful in various trainings such as physical gestures, breathing, intention of lines, and making the language one’s own. The methodology proposed in this study may allow a more diverse teaching strategy to teaching acting and building character in Korea.

목차

Ⅰ. 서 론
Ⅱ. 신체 행동의 방법론 고찰
Ⅲ. 행동 동사의 선택
Ⅳ. 행동 동사의 신체적 활용 방법
Ⅴ. 정당화 과정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민재(Min-Jae Kang). (2018).신체적 배역 접근. 유라시아연구, 15 (1), 193-213

MLA

강민재(Min-Jae Kang). "신체적 배역 접근." 유라시아연구, 15.1(2018): 193-21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