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Leader’s HEXACO Personality trait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발행기관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 저자명
- 김석원(Suk-Won Kim) 이동명(Dong-Myung Lee)
- 간행물 정보
- 『유라시아연구』제14권 제4호, 63~93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조직 내 상사의 HEXACO 성격 유형에 따라 리더십, LMX,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HEXACO 성격 6요인인 정직성, 정서성, 외향성, 원만성, 성실성, 개방성을 성격요인으로 활용하였다. 이러한 연구로 조직 내에서 리더의 선발과 교육, 경력 개발과 관련하여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 시대의 흐름에 따라 새롭게 요구되고 있는 리더십과 상사의 역할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상사의 성격이 리더십과 LMX, 조직유효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 결과와 시사점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상사의 성격이 리더십과 LMX,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사의 HEXACO 성격유형 6요인이 변혁적 리더십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LMX의 정서적 친밀감에는 외향성, 원만성, 개방성이 영향을 미치고, 충성심에는 정직성, 외향성, 원만성, 공헌의욕에는 원만성, 성실성, 개방성, 그리고 전문성존중에는 정직성, 원만성, 성실성, 개방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사의 성격과 조직유효성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에는 성격이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으며, 조직몰입에는 성실성과 개방성, 이직의도에는 원만성, 성실성, 개방성이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격 요인 중 정서성은 모든 관계에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둘째, 변혁적 리더십은 LMX와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고, LMX도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충성심을 제외한 LMX의 하위요인 3개에는 변혁적 리더십이 모두 영향을 미치고 있다. LMX가 조직유효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은 상사와 부하와의 관계 정도가 조직의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의 성과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연구결과는 리더 선발, 교육, 경력 개발 부분에 좋은 시사점 제공이 가능하게 한다. 성격 요인을 고려해 리더 평가, 선발, 배치 및 지도 프로그램에 적용하여 조직관리에 활용한다면, 조직성과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리더의 행동유형을 연구하여 리더 교육에 활용한다면 리더와 직원 간 관계의 질을 높이는 동시에 직원들의 조직몰입을 높이며, 이직의도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tri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personality traits of leader in the organization on leadership, LMX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Honesty, emotionality, extraversion, agreeableness, conscientiousness and openness to experience (6 factors of HEXACO traits) were used as factors of traits. It was tried to provide working level suggestions related to recruitment and training of leader and their career development and the orientation of leadership that are newly required according to the trend of times and the roles of leader in the organization.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raits of leader made significant effects on leadership, LMX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followings are summary of the study results and suggestions.
First, it was identified that traits of leader made effects on leadership, LMX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HEXACO 6 factors of traits of leader made partially significant effects 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affect of LMX, extraversion, agreeableness and openness to experience made effects, while on loyalty, honesty, extraversion and agreeableness made effects. On desire of contribution, agreeableness, conscientiousness and openness to experience made effects, while on professional respect, honesty, agreeableness, conscientiousness and openness to experience made significant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its of leader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raits did not make effects on job satisfaction.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conscientiousness and openness to experience made effects, while on turnover intention agreeableness, conscientiousness and openness to experience made effects. Out of traits factors, emotionality was found not to make significant effects in all relationships.
Seco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made effects on LMX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hile LMX also made effect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made effects on all three sub-factors of LMX excluding loyalty. Significant effects of LMX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can be interpreted that relationship between leader and subordinates made significant effects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It can be said tha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playes important roles in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ird, study results provide good suggestions for recruitment, education and career development of leaders. If traits factors are utilized for organizational management applying them to evaluation, recruitment, placement and guidance programs, it is thought to contribute to enhancement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If we study behavioral typology of leasers and utilize the result for leader training, we can improve quality of relationship between leader and employees and enha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employees reducing turnover intention at the same tim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설계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개별 펀드규모와 산업 펀드규모가 펀드성과에 미치는 영향
- Comparative Analysis of Internal Control System in USA, Japan and Korea
- 한국의 소비자동향지수에 관한 영향요인 분석
- 타인의 자선활동이 개인의 자선활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
- 주택가격이 가계소비에 미치는 영향
- 기업 재고수준 설명을 위한 전통적 재고관리 모형의 유용성에 관한 한국기업과 해외기업 비교 연구
- Price Spillover Effects across Natural Gas, Oil and Stock Markets in Korea, China and Japan
- 상사의 HEXACO 성격유형과 조직유효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
- Consumer Value Creation in the Networked Age: The Case of K-Pop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인공지능(AI)과 윤리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