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on the Depression of Middle-aged Adults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Networks
- 발행기관
- 사회복지정책실천회
- 저자명
- 이기영(Kiyoung Lee)
- 간행물 정보
- 『사회복지정책과 실천』10권 2호, 75~9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7.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년층의 건강증진 행위와 우울의 관계에서 사회적 관계망의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내 5060세대 장년층을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집하였으며, 연구 대상은 장년층 392명이다. 분석방법은 프로세스 매크로를 활용한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년층의 건강증진 행위가 우울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즉, 장년층의 건강증진 행위가 높을수록 우울이 낮게 나타났다. 둘째, 장년층의 건강증진 행위와 우울의 관계에서 사회적 관계망의조절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사회적 관계망이 높을수록 건강증진 행위가 낮은 집단보다 높은 집단에서 우울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장년층의 건강증진 행위 증진과 사회적 관계망 확대를위한 실천 및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network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depression among middle-aged adults.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middle-aged adults aged 50-60 in Busan,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392 respondents. The analysis utilized process macro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health promotion behaviors among middle-aged adults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impact on depression, indicating that higher level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s were associated with lower levels of depression. Secondly,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network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depression was significant. Specifically, higher levels of social networks were associated with relatively lower levels of depression among groups with higher level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s compared to those with lower levels.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practical interventions and policies to enhance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expand social networks among middle-aged adults a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 청년실업의 원인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가족복지학 제30권 제3호 목차
- 어린이집 교사 대 아동 비율 개선 이후 변화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인식
- 특성별 지역아동센터 지원사업 현황 및 개선방안 - FGI 조사를 통한 관계자 의견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