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세종대 『성리대전(性理大全)』의 도입과 주희 문헌 활용

이용수  80

영문명
The introduction of Sungleetaejeon (性理大全)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and the use of Zhu Xi's literature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저자명
최민규(Min-Gyu Choi)
간행물 정보
『동방학지』제207집, 143~171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세종대 『성리대전』 도입의 지적 기반과 주희 문헌 활용 양상을 살핌으로써, 신국가 조선의 체제 정비에 미친 성리학의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했다. 고려 말 주희 문헌 활용은 체제개선과 개혁이라는 입장 차에 따라 원 관학 성리학풍을 중시하는 이색-권근 계열과 남송 성리학을 수용한 정도전 계열로 분화되었다. 이러한 분화는 조선건국, 왕자의 난이라는 이 시기 정치적 대립을 낳았을 낳았고, 후자가 관학의 주류 흐름으로 정착했다. 원 관학 성리학풍에 입각한 주희 문헌 활용은 세종대 『성리대전』의 도입으로 한 단계 진전한다. 조선 정부는 『성리대전』을 통해서 신국가 조선의 관학 체계, 정치제도를 확립하고자 했다. 그리고 『성리대전』에 수록된 저본들을 통해서 주희의 입장에 기반한 사서오경 해석의 기풍을 확대시켜 나갔다. 세종 정부는 『성리대전』수용을 통해서 군주 주도의 정치 이념을 형성했다. 이는 『성리대전』에 반영된 군사(君師)의 정치론을 변용해서 유교 보편의 이념인 명분론을 바탕으로 군주를 중심으로 한 공적인 기강을 정립하고자 한 것이었다. 이를 토대로 세종 정부는 예제 정비, 부민고소금지법, 육형 실시 등에 주희의 언설을 폭넓게 활용해서 집권체제의 상하 수직적 질서를 유지할 수 있는 공적 기강을 바로잡고자 했다. 그리고 집권체제의 물적 토대로서 소농들의 생계 보장책을 마련해 국가의 재정을 충실히 할 방편으로 공법이 논의되었다. 이때 『성리대전』 인용을 통한 공법 시행 관철은 국가의 강화된 집권력을 바탕으로 소농을 보호하고자 했던 지향이 점차 지주 중심으로 정리하는데 기여했다. 이와 함께 사창제 시행 논의에서 제한적이나마 지주 중심, 재지사족 중심의 집권체제 운영론이 도출되기도 했다. 정리하자면, 세종대 『성리대전』·『사서오경대전』을 중심으로 한 주희 문헌 활용은 집권체제의 상하 수직적 질서를 확립하고 지주제를 안착시키는데 기여한 것이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ought to confirm the influence of Neo-Confucianism on the establishment of the system of the new nation of Joseon by examining the intellectual basis for the introduction of Sungleetaejeon (性理大全)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and the patterns of utilization of Zhu Xi (1130-1200) literature. Sejong's government formed a monarch-led political ideology through the acceptance of Sungleetaejeon. Based on this, the Sejong government widely used Zhu Xi's remarks in matters such as the maintenance of Rituals Protocols (禮制), the Law of Prohibiting Accusations against Chief Magistrates by People and Local Ruling (部民告訴禁止法), and the implementation of Ròuxíng punishments (肉刑). And as a material basis for the ruling system, public law was discussed as a way to ensure the livelihood of small farmers and improve the national finances. At this time, the implementation of Gongbeop(貢法) through quotation from Sungleetaejeon contributed to gradually organizing the tendency to protect small farmers based on the strengthened power of the state to a focus on landlords. In addition, in discussions on the implementation of She-cang Institution(社倉制), a limited theory of operating a ruling system centered on landowners and ruling class groups (Jaeji-Sajok, ruling class groups active in the provinces of Joseon) was derived. To sum up, the use of Zhu Xi's literature centering on the Daejeon of the Four Books and the Five Classics of King Sejong's reign contributed to establishing the vertical order of the ruling system and establishing the landlord system.

목차

1. 머리말
2. 원 관학 성리학풍의 계승과 『성리대전』의 도입
3. 군주 주도 정치 이념과 주희 사창론의 제한적 활용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민규(Min-Gyu Choi). (2024).세종대 『성리대전(性理大全)』의 도입과 주희 문헌 활용. 동방학지, (), 143-171

MLA

최민규(Min-Gyu Choi). "세종대 『성리대전(性理大全)』의 도입과 주희 문헌 활용." 동방학지, (2024): 143-17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