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기 부모-자녀 결합형태 및 가족 기능과 아동의 외로움간의 관계
이용수 5
- 영문명
-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Perceived Parent-Child Bonding Type in Early Stages, Family Functioning, and Children's Loneliness
- 발행기관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 저자명
- 박인전(In Jeon Park) 우민정(Min Jeung Woo)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족복지학』Vol.6 No.2, 25~4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1.11.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perceived parent-child bonding type in early stage, family functioning, and children's loneliness. The 899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were 5th and 6th grade students.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Children's loneliness was negatively related to 'maternal care' and 'paternal care', whereas it was positively related to 'maternal overprotection' and 'paternal overprotection' and family functioning was negatively related to loneliness. Both 'maternal care' and 'paternal care'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family functioning, but 'maternal overprotection' and 'paternal overprotection'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family functioning. 2. In whole children, 'maternal care' and 'paternal overprotection' directly influenced children's loneliness and 'maternal care' and 'paternal care' indirectly influenced children's loneliness via 'family cohesion'. However, what to be noted here is that for boys only 'maternal care' directly influenced children's loneliness whereas for girls 'maternal overprotection' and 'paternal overprotection' directly influenced children's loneliness. And in both boys and girls, 'maternal care' and 'paternal care' indirectly influenced children's loneliness through 'family cohesion'. Finally, it was also found that family cohesion among family functions directly influenced children's loneliness.
영문 초록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55호 목차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만성질환 노인의 돌봄 수혜경험 : 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