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과 자살생각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관계의 조절 효과
이용수 27
- 영문명
-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Relations in the Correlation Between Adolescents’ Internet Addiction and Suicidal Ideation: With a Focus on Adolescents’ Relationships with Their Friends Parents, and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 저자명
- 서종수(Jong-Soo Seo)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족복지학』Vol.21 No.4, 629~65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ctual conditions of adolescents’ internet addiction and suicidal ideation, and to define the adolescents’ relationships with their friends, parents, and teachers as social support factors in the effects of internet addiction on suicide and verify their moderating effect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teenagers in Daegu between July 20 and August 10, 2013, and 258 completed copies of a questionnaire were used for analysis. This study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surveyed adolescents scored 1.84 points in internet addiction and 1.74 points in suicidal thoughts, which were lower than the average scores. In terms of social relations, they scored 3.79 points, 3.24 points, and 3.67 points in their relationships with their friends, teachers, and parents, respectively, which were slightly higher than the average scores. Second, in terms of the effects of adolescents’ internet addiction on their suicidal ideation, their relationships with their friends showed moderating effects. On the other hand, their relationships with their parents showed negative effects on the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but did not have moderating effect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an intervention plan to prevent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의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과 자살생각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관계의 조절 효과
- 국제 결혼한 한국 남편의 다문화 접촉경험과 가부장적 특성이 다문화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 결손된 자기의 회복에 대한 협력적 자문화기술지
- 보육교사의 가족형태 인식, 수용성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연구
- 결혼 만족도와 가족 친밀감이 기혼자의 심리적 고통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의 행복감과 양육스트레스가 유아 자아 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동적가족화(KFD) 반응에 나타난 기능적 가족과 역기능 가족의 모-자 상호작용 특성 비교
- 청소년의 물질주의 가치관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장학을 통한 영아 자유놀이 시간의 교사개입 변화탐색
- 청소년기 자녀를 둔 아버지 대상 웹기반 아버지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질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55호 목차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만성질환 노인의 돌봄 수혜경험 : 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