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소년의 부모-자녀 간 부정적 의사소통이 스마트폰중독에 미치는 영향과 우울의 매개효과
이용수 25
- 영문명
- A Study on the Effect of Parent-Child Negative Communication on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 발행기관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 저자명
- 김재엽(Jae-Yop Kim) 장대연(Dae-Yeon Jang) 황선익(Sun-Ik Hwang)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족복지학』Vol.23 No.3, 419~43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9.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de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negative communication patterns and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and suggest social welfare intervention methods for adolescent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The survey targeted 1,911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tilized an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23.0. As a result of the surve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70.6 percent of adolescents were found to be at risk of smartphone addiction. Second, 4.8% of high risk addiction group was identified and showed the highest mean of Parent-Child Negative Communication and depression among the groups Third, parent-child negative communication patterns were positively related to smartphone addiction. Lastly, depression, which is a mediate variable, has a partial mediate effect on the model. Based on these outcomes, we suggest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improved approaches to family relationships and depression among adolescents as a way to reduce smartphone addiction and propose a social work-based intervention program for additional assistance.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55호 목차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만성질환 노인의 돌봄 수혜경험 : 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