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독일 국유재산의 현황과 법제
이용수 36
- 영문명
- Aktuelle Situation und Rechtssystem des Deutschen Staatseigentums
- 발행기관
- 한국재정법학회
- 저자명
- 신정규(Jung-Gyu Shin)
- 간행물 정보
- 『재정법연구』제10권, 91~125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독일에서의 국유재산의 개념과 현황, 국유재산 관련 법령·관리체계와 국유재산 개발사례 등을 검토하였다. 국유재산의 적극적인 활용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국유재산의 경제적 가치를 극대화하고 매각 등의 처분을 국유재산의 주된 정책 방향으로 잡고 있는 점은 우리의 상황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일원적인 국유재산의 관리체계와 국가재정의 큰 원칙에서 국유재산의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는 점은 독일 국유재산관리에서 가장 큰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다만 단일법의 제정 없이 연방과 주의 예산법 그리고 헌법인 기본법에 국유재산관리와 관련된 규정이 산재되어 있는 점은 한국의 국유재산 관련 법체계와 상당히 이질적인 사항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차이점은 독일과 한국의 국유재산관리를 바라보는 원칙에서 나타나는 차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독일의 국유재산관리와 법령체계, 그리고 개발 사례 등은 한국의 국유재산관리 법제와 현황 등과의 적절한 비교를 통해 도입여부를 판단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앞서 언급한 독일에서의 국유재산 개발 사례에 비추어 볼 때 주와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협력과 민간 부분과의 협업, 시민의견의 적극적인 수렴 등은 우리의 국유재산개발과정에서도 검토가 될 만한 사항이라고 생각된다.
영문 초록
Besprochen wurden das Konzept und der aktuelle Stand des Staatseigentums in Deutschland, Gesetze und Verwaltungssysteme im Zusammenhang mit Staatseigentum sowie Fälle der Entwicklung von Staatseigentum. In einer Situation, in der eine aktive Nutzung von Staatseigentum erforderlich ist, kann man sagen, dass die Maximierung des wirtschaftlichen Werts von Staatseigentum und dessen Veräußerung, beispielsweise durch Verkauf, als die wichtigste politische Richtung festgelegt wird unsere Situation. Die Tatsache, dass die nationale Immobilienverwaltung auf der Grundlage eines einheitlichen nationalen Immobilienverwaltungssystems und der allgemeinen Grundsätze der nationalen Finanzen erfolgt, kann als das größte Merkmal der deutschen nationalen Immobilienverwaltung bezeichnet werden. Man kann jedoch sagen, dass die Tatsache, dass Vorschriften zur nationalen Immobilienverwaltung verstreut in den Haushaltsgesetzen des Bundes und der Bundesstaaten sowie im Grundgesetz der Verfassung verstreut sind, ohne dass ein einziges Gesetz erlassen wurde, im Vergleich zum nationalen Eigentumsrechtssystem Koreas recht heterogen ist. Man kann jedoch sagen, dass es sich bei diesem Unterschied um einen Unterschied in den Grundsätzen der nationalen Immobilienverwaltung zwischen Deutschland und Korea handelt. Daher scheint es, dass Deutschlands nationales Immobilienverwaltungs- und Rechtssystem sowie Entwicklungsfälle angemessen mit Koreas nationaler Immobilienverwaltungsgesetzgebung und dem aktuellen Stand verglichen werden sollten, um zu entscheiden, ob es eingeführt werden soll. Angesichts des oben erwähnten nationalen Immobilienentwicklungsprozesses in Deutschland sind jedoch eine aktive Zusammenarbeit zwischen Staat und Kommunen, die Zusammenarbeit mit dem Privatsektor und die aktive Einholung von Bürgermeinungen Themen, die in unserem nationalen Immobilienentwicklungsprozess berücksichtigt werden können. Ich glaube schon.
목차
Ⅰ. 들어가는 글
Ⅱ. 독일에서의 국유재산의 개념과 현황
Ⅲ. 독일의 국유재산 관련 법률체계와 관리체계
Ⅳ. 연방부동산업무공사의 설립취지, 법적 성격, 조직 구성 등
Ⅴ. 독일에서의 국유재산의 개발
Ⅵ. 맺는 글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