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COVID-19 상황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가 기혼자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부공동대처의 조절효과
이용수 10
- 영문명
- The Moderating Effects of Dyadic Coping on the Association between COVID-19-Related Stress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Married Individuals
- 발행기관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 저자명
- 주수산나(Susanna Joo) 유계숙(Gyesook Yoo)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족복지학』Vol.26 No.1, 21~3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3.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Objective: The present study aim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dyadic coping on the association between COVID-19-related stress and subjective well-being. Methods: Data were collected in the middle of intensive social distancing regulation (April 2020) by an online survey. The sample was 540 adults who were married and lived with an intimate partner, and their ages were 27-68.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stress in the COVID-19 situation, and the dependent variable was subjective well-being. The moderating variables were emotion-focused dyadic coping and problem-focused dyadic coping. Two regression models (emotion-focused dyadic coping model and problem-focused dyadic coping model) were analyzed using SPSS with PROCESS MACRO, respectively. Results: Emotion-focused dyadic coping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association between stress and subjective well-being. However, problem-focused dyadic coping did not have a moderating effect but a direct positive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Conclusions: The study implied that emotional support within couple relationships had a buffering effect on the negative influence of stress in COVID-19 situations. Also, cooperative trying within relationships to solve problems enhanced subjective well-being among married individuals.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V. 논의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버지의 행복감, 어머니의 행복감, 자녀의 행복감과 자존감 간의 종단적 상호관계
- 대학생의 정서적 학대 경험과 분노와의 관계에서 자기체계 손상의 다중병렬매개효과
- COVID-19 상황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가 기혼자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부공동대처의 조절효과
- 중년 1인 가구의 사회적 관계와 경제적 노후준비
- 빈곤 여성 한부모의 자립에 관한 질적연구
- 포스트 코로나 시대 워킹맘의 육아 스트레스 경험과 적응 과정에 관한 연구
-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학교생활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부모공감의 매개효과
- 발달장애 청소년 어머니의 자녀 직업준비경험에 관한 연구
- 위계적선형모형(HLM)을 적용한 아버지역할 증진을 위한 웹기반 아버지교육프로그램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특성 변인 탐색
- 대학생의 가정폭력 경험이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55호 목차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만성질환 노인의 돌봄 수혜경험 : 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