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부산 다행복학교 핵심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이용수 154
- 영문명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Core Competency Scale for Busan Dahaengbok B Middle School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 저자명
- 김현지(Hyunji Kim) 이수지(Suji Lee)
- 간행물 정보
-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제6권 제2호, 165~19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는 부산 다행복학교인 B중학교가 핵심교육가치를 잘 실현하고 있는지 진단할 수 있는 핵심역량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B중학교가 제시한 호기심, 자기긍정, 배려, 협력, 감사, 도전의 핵심역량에 대한 정의를 도출하기 위해 B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핵심역량에 대한 인식조사를 실시하였다. 다양한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핵심역량을 재정의하고 하위 구성요소들을 도출하여 문항을 개발한 후 현장 교사 및 전문가를 대상으로 내용 타당도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예비 문항을 개발하고 B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예비조사, 본조사 두 번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한 결과에 대해서 기술통계분석,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등을 거쳐 최종 문항을 개발하였다. 연구결과: 분석 결과 B중학교의 핵심역량은 총 6개로, 27개의 문항이 최종적으로 개발되었다. 논의 및 결론: 이 연구는 B중학교 학생의 교육적 성장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로 활용되고 나아가 혁신학교의 핵심역량 개발에 필요한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validate a self-rating scale to measure core competencies for Busan Dahaengbok B middle school. Specifically, this study developed an instrument for core competencies: curiosity, self-affirmation, caring, cooperation, gratitude, and challenge. Method: We derived core competencies’ definition based on literature review, how students understand their meaning and developed sub-components and items. Content validity of the developed items was conducted with B school teachers and educational experts. We conducted two surveys, a preliminary survey and a main survey. The final instrument was develop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a total of 6 core competencies and 27 questions were ultimately developed. Conclusion: This scale can be employed as an indicator to confirm the educational growth of B middle school students and further as a useful tool for developing core competencies of innovative schools.
목차
Ⅰ. 서 론
Ⅱ. B중학교의 핵심교육가치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개념적 접근에 따른 교육과정 연계·통합의 가능성과 과제
- 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직무만족도 관계에서 그릿과 소명의식의 병렬다중매개효과
- 시각화 자료를 활용한 현실치료상담 기반 학급상담 훈련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교사의 생활지도 효능감 및 교사-학생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 청소년 경제생활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콘텐츠 개발 연구
- 부산 다행복학교 핵심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Ivan lllich의 도구관을 통한 에듀테크 주요 이슈의 비판적 분석과 교육적 방향 고찰
- 학내 갈등 및 학교폭력 사안에 대한 교육적 접근으로써 회복적 생활교육의 교사 실천 경험 연구
- 내러티브에 기반한 영유아 통합 교육과정 개발의 시론적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