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치위생과 학생들의 성격유형에 따른 전공만족도
이용수 120
- 영문명
- Major Satisfaction According to Personality Type of Dental Hygiene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구강보건과학회
- 저자명
- 조미숙(Mi-Sook Cho) 정정화(Jung-Hwa Jung)
- 간행물 정보
- 『한국구강보건과학회지』제12권 제2호, 88~94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s: It is to understand th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students through the results of MBTI personality type and major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e students and provide basic data for student guidance and counseling
Methods: From December 4, 2003 to March 29, 2024, 305 students enrolled in the dental hygiene department were conducted. For the data analysis of this study, the SPSS version 27.0 (IBM Crop, Armonk, USA)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Results: 1. The distribution of individual preference indicators was more introverted (I), sensory (S), sensory (F), and cognitive (P) 2. The MBTI personality types appeared in the order of ISFP, ISTP, ISFJ, and INFP, ESTJ. 3. The personality type by function was the highest in the sensory (S)-emotional type (F), and the personality type by temperament was the highest in the sensory (S)-perception type (P) 4. In terms of major satisfaction according to preference trends, students in introversion (I), sensory (S), thinking (T), and judgment (J) had high major satisfaction, and major satisfaction by personality type was in the order of ESTP, ISTJ, ISFJ, and ESFP, and major satisfaction of ST by function and SJ by temperament was the highest.
Conclusions: Through the above results, it is expected that the MBTI personality type of students will be actively utilized to provide basic data on student guidance and counseling for students who may not adapt to the departmen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악성 흑색종에서 CGM이 유도하는 세포자멸사와 상피간엽이행 억제 효과
- 한국구강보건과학회지 제12권 제2호 목차
- 코로나 이환 경험자를 대상으로 주관적 구강상태 인지와 미각 역치 간의 상호관계 분석
- 청소년들의 생활 습관 및 스트레스 등이 구강질환 증상에 미치는 영향
- 치위생학과 학생의 취업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학과만족도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자아존중감과 자기주도학습 능력, 임상실습 소속감이 임상실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마스크 착용에 따른 흡연자의 주관적 구취 수준과 구강건강행태 현황
- 성인 여성의 음주 및 흡연이 현존 치아 수 및 주관적 구강불편에 미치는 영향 요인 조사
- 한국 여성노인의 저작불편감과 영양소 섭취의 연관성
- 영상매체를 이용한 구강보건교육 후 치면세균막 지수 변화와 만족도
- 일부 치과위생사의 주관적 건강관리요인과 식이관리요인이 구강보건교육 실천도에 미치는 영향
- 치위생과 학생들의 현장임상실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치위생과 학생들의 성격유형에 따른 전공만족도
- 한국 성인의 가철성의치 장착 여부 및 필요도와 범불안장애 관련성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