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Modern Gender Gap in Presidential Approval Ratings in South Korea
이용수 131
- 영문명
- Modern Gender Gap in Presidential Approval Ratings in South Korea
- 발행기관
-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저자명
- 신희주(Heeju Shin) 신현기(Hyunki Shin)
- 간행물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제67권 제2호, 5~2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5.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2018년 말부터 임기 말(2022년 5월)까지 문재인 대통령에 대한 여성의 지지율이 남성의 지지율보다 높았던 현상을 ‘현대적 성차’(modern gender gap)의 관점으로 해석하고, 어떤 요인이 그러한 남녀 격차를 만들어냈는지 Oaxaca-Blinder 분해법으로 분석했다. 분석결과, 환경, 한미동맹, 페미니즘 등의 정책에 대한 남녀의 입장 차이가 문재인 대통령 지지의 남녀 격차를 만들어냈다. 특히 문재인 대통령 집권 기간 부각된 젠더 갈등이 페미니즘에 대한 남녀의 입장 차이를 확대하면서 대통령 지지의 남녀 격차를 만들어낸 것으로 보인다. 또한 문재인 정부의 주택정책에 대한 평가는 문재인 대통령 지지의 남녀 격차를 확대한 반면, 국가 경제상황에 대한 평가는 그러한 차이를 좁혔다. 흥미로운 점은 거대 양당(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외의 제3당을 지지하거나 지지정당이 없을 경우 문재인 대통령에 대한 남녀 지지율 격차가 감소했는데, 이는 대통령 지지의 남녀 격차가 거대 양당 지지자 간의 양극화와 관련있음을 시사한다. 이 연구는 2010년 이후 한국에서 나타나기 시작한 현대적 성차가 대통령 지지율에도 나타나는지, 그리고 그러한 남녀 격차를 만들어내는 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함으로써 대통령 지지율과 젠더 정치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phenomenon of women's higher support for President Moon Jae-in than men's from late 2018 until the end of his term in May 2022 by analyzing this trend through the lens of the modern gender gap. Using the Oaxaca-Blinder decomposition method, we identify policy attitudes toward environmental issues, the Korea-US alliance, and feminism as key factors widening the gender gap in President Moon's approval ratings. In particular, the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of attitudes toward feminism may be attributed to the salience of gender conflict during the Moon administration. Furthermore, evaluations of housing policy were found to widen the gender gap in support for President Moon, while perceptions of the national economic situation appeared to narrow it. Interestingly, the gender gap diminished among those who supported third parties other than the Democratic Party and the People Power Party, or those who were not affiliated with any party, indicating a relationship between the gender gap in support for President Moon and political polarization between the major parties. This study contributes to gender politics research by investigating whether the modern gender gap, which has become apparent in South Korea since 2010, is also reflected in presidential support and by analyzing the factors that contribute to such a gap.
목차
I. Introduction
II. Literature Review
III. Methodology
IV. Results
V. Discussion and Conclusion
Reference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문사회과학연구 제67권 제2호 목차
- Modern Gender Gap in Presidential Approval Ratings in South Korea
- 아동기 외상이 폭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신체수치심의 매개효과 및 성별에 따른 다집단분석
- 20대 남성의 신경성 폭식 경험 및 극복의 의미 탐색을 위한 사례연구
- A Study on Korean Nail Salon Women and Nail Beauty in New York
- A Study on the Dynamics of Crisis Resolution - Analysis of Bulgaria's Approach to the Jewish Problem during World War II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소위 ‘강한 인공지능(AI)’ 영역에서의 민사책임에 관한 연구 - 스포츠·엔터테인먼트 산업을 중심으로 -
- 스포츠 인권침해 신고와 피해자 보호를 위한 법정책 과제
- 스포츠와 민사책임 - 프랑스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