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공간생산이론으로 보는 지역문화콘텐츠 활성화 방안
이용수 31
- 영문명
- 발행기관
-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 저자명
- 원동선 김희영 이유나 유영초
- 간행물 정보
-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자료집』2021년 동계학술대회 자료집, 35~44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1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행정구역단위의 인구변동과 주거변화를 지역소멸로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교통과 통신 등의 사회 발전 등을 통한 지역의 패러다임의 변화로 바라보고자 하였다. 즉, 정주적 인구나 주거개념이 아닌 생활과 이동의 관점으로 보면 지역은 소멸 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생산되고 있으며 확장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은 앙리 르페브르의 공간생산이론에서 그 맥락을 찾을 수 있다고 보고, 이를 바탕으로 관광의 공간 생산적 의미를 살펴보았으며, 순천시 향매실마을 관광콘텐츠 개발 사례를 통해 관광을 통한 공간의 생산과 실천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지역의 지속가능성은 기존의 인구, 주거, 시설 등으로 보는 지역소멸 관점에 있지 않다. 이는 계획되고, 고안된 지배적인 공간의 재현에 따른 공간적 실천보다는 이동과 확장의 자발적 체험을 통해 생산되고 재구성되는 공간의 생산과 실천 등 재현공간에 의해 담보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목차
1. 서론
2. 지역과 공간의 생산
3. 공간 생산과 관광
4. 맺음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재영토화 과정으로서 문화적 도시재생 연구
- 공동화현상 극복을 위한 문화콘텐츠활성화방안연구
- 어촌 풍도의 지역재생과 어민역량 강화 사례 연구
- 공간생산이론으로 보는 지역문화콘텐츠 활성화 방안
- 예술 기획을 통한 문화재 공연 콘텐츠 창출에 관한 연구
- 문화콘텐츠를 통한 지역관광의 새로운 패러다임 사례 연구
- 영화에서 재현되는 ‘SOS폭력’ 연구
- 평택농악의 글로벌 브랜드화를 위한 전략 연구
- 안달루시아 지역에 나타나는 문화 혼종성
- 메타버스를 활용한 지역축제 활성화 방안 연구
- 부산국제영화제, 각색영화 연구
- 2021년 동계학술대회 자료집 목차
- 2021년 동계학술대회 자료집 프로그램
- 한국의 서원 세계유산 선정과 지역콘텐츠 연계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