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view aricle] Clinical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ypercortisolism that functional medicine practitioners should consider
- 발행기관
- 대한기능의학회
- 저자명
- 정수지
- 간행물 정보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for Functional Medicine』Vol.7 No. 1, 40~52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5.3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고코르티솔증은 전통의학적으로 내분비질환인 쿠싱증후군에서 확인되는 현상이나 기능의학적 임상적 평가과정에서 흔히 발견되는 현상이다. 내인성 쿠싱증후군자체는 흔하지 않은 질환이나 평가되지 않은 경우 환자에게 다양한 합병증을 갖게 되어 조기 발견 및 치료가 중요하다. 또한 쿠싱증후군으로 보일 수 있는 많은 가성 쿠싱 증후군의 경우 정신질환 및 스트레스 반응과 밀접한 관련이 되어 있다. 기능의학 의사로서 고코르티솔증의 평가에 대한 코르티솔 대사 및 검사방법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며 고코르티솔증을 확인하였을 때 감별해야 할 환자의 상태와 그 해결법에 대한 다양한 고민이 반드시 필요하다.
영문 초록
Hypercortisolism is a phenomenon identified in traditional medicine for Cushing's syndrome, an endocrine disease, but is commonly discovered during clinical evaluation in functional medicine. Endogenous Cushing's syndrome itself is an uncommon disease, but if not properly evaluated, it can cause various complications in patients, so early detection and treatment are important. Additionally, pseudo-Cushing's syndrome, which may appear to be Cushing's syndrome, is often closely related to mental illness and stress reactions. As a functional medicine physician,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cortisol metabolism and testing methods to evaluate hypercortisolism, an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various patient’s conditions and solutions when hypercortisolism is confirmed.
목차
서론
본론
결론
Conflicts of Interest
Author Contributions
요약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증례보고] 기능의학 증례 보고: 5R 치료 후 원형 탈모 호전 사례
- [증례보고] 기능의학 증례 보고: 롱코비드와 부신 피로 동반 환자 1례
- [증례보고] 약물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대상포진후 가려움 환자에서의 삼차신경절주사와 싸이모신알파1 치료 효과 증례
- [종설] 비만의 변화된 대사 적응에 대한 기능의학적 이해
- [종설] 해독 시스템의 기능의학적 이해와 접근
- [종설] 기능의학 의사가 고려해야 할 고코르티솔증의 임상적 평가 및 치료
- [종설] 기능의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아스피린과 메트포르민
- [종설] 만성 편두통에 대한 기능의학적 이해 및 치료적 접목
- [종설] 심장주위지방과 심장혈관 석회화의 평가 및 관리
- [종설] 기능의학적 5R 치료의 근거와 적용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for Functional Medicine Vol.7 No. 1 목차
참고문헌
- StatPearls
- Endotext
- StatPearls
- J Allergy Clin Immunol
- Endocrinol Metab (Seoul)
- J Clin Endocrinol Metab
- J Clin Endocrinol Metab
- Clin Endocrinol (Oxf)
- Rheum Dis Clin North Am
- Mol Cell Endocrinol
- J Clin Endocrinol Metab
- J Clin Med
- Psychiatry Clin Neurosci
- Endocrinol Metab (Seoul)
- J Clin Endocrinol Metab
- Clin Epidemiol
- Horm Metab Res
- Eur J Endocrinol
- Endocr Rev
- Ann Intern Med
- JAMA Intern Med
- Clin Pharmacol Ther
- Front Endocrinol (Lausanne)
- J Clin Endocrinol Metab
- Brain Sci
- Eur Psychiatry
- Psychiatry Clin Neurosci
- Psychoneuroendocrinology
- J Clin Endocrinol Metab
- Neuropsychopharmacology
- Horm Behav
- Eur J Endocrinol
- J Endocr Soc
- C R Biol
- Front Psychiatry
- Biol Psychol
- Biomedicines
- Endocr Pract
- Psychoneuroendocrinology
- J Clin Endocrinol Metab
- Acta Fac Med Naissensis
- J Steroid Biochem Mol Biol
- J Clin Endocrinol Metab
- Psychoneuroendocrinology
- Clin Invest Med
- Am Fam Physician
- J Endocrinol Invest
- Eur J Endocrinol
- BMJ Open
- Arch Dis Child Fetal Neonatal Ed
- Prog Neuropsychopharmacol Biol Psychiatry
- J Psychiatr Res
- Psychoneuroendocrinology
- Neurosci Biobehav Rev
- Encyclopedia of stress (second edition)
- Front Psychiatry
- Endocr Pract
- Advances in pituitary adenoma research
- Steroids
- Eur Food Res Technol
- J Sports Sci Med
- Int J Sports Sci
- Endotext
- Planta Med
- Medicine (Baltimore)
- BMC Complement Altern Med
- J Int Soc Sports Nutr
- Eur J Med Chem
- FASEB J
- J Korean Inst Funct Med
- Ther Adv Endocrinol Metab
- J Korean Inst Funct Med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세포교정영양요법(OCNT)을 이용한 녹내장 개선 사례
- 세포교정영양요법(OCNT)을 이용한 백신 이상반응 개선 사례 보고
- 세포교정영양요법(OCNT)을 이용한 갑상선 기능 저하증 개선 사례 보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