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Changes in Concentration through Respiratory Muscle Training using Virtual Reality on the Pulmonary Function in Smokers
- 발행기관
- 대한심장호흡물리치료학회
- 저자명
- 배세현(Sea-Hyun Bae) 안현(Hyun Ahn) 양희성(Hui-Seong Yang) 김수진(Su-Jin Kim) 김예림(Ye-Rim Kim) 최예령(Ye-Ryeong Choi) 이세연(Se-Yeon Lee) 허민규(Min-Kyu Heo) 김경윤(Kyung-Yoon Kim)
- 간행물 정보
- 『대한심장호흡물리치료학회지』제12권 제1호, 13~19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재활의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hanges in concentration through respiratory muscle training using virtual reality on training concentration and pulmonary function in male smokers who have decreased concentration because of academics, employment, and smoking.
Methods: The study included 15 male university students who had smoked for >2 years. They were randomly allocated to the control group (n=8) that performed respiratory muscle training using breathing exercise equipment and experimental group (n=7) that performed respiratory muscle training using virtual reality. The training was performed three times a day, three times a week, for a total of 4 weeks. During training, concentration was measured considering changes in the RAHB and heart rate variability (low frequency to high frequency [LF/HF] ratio) using QEEG-32FX, and pulmonary functions were measured based on changes in forced vital capacity (FVC),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 (FEV1), and FEV1/FVC using Spiropalm.
Results: After the interventio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LF/HF ratio (p <.01), FVC (p<.05), and FEV1(p<.05), whereas the contro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LF/HF ratio (p<.05) and FVC(p<.05).
Conclu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revealed that respiratory muscle training using virtual reality i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pulmonary function by further enhancing training concentr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Ⅴ.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한심장호흡물리치료학회지 제12권 제1호 목차
- 뇌졸중 환자의 삼킴 장애와 호흡기능, 호흡근 근력과의 상관관계
- 만성폐쇄성폐질환을 가진 노인 남성의 호흡 근력과 신체 기능 및 근육량의 상관관계 연구: Pilot study
- 전방머리자세와 체질량지수가 호흡기능에 미치는 영향
- 가상현실을 이용한 호흡근 훈련의 집중력 변화가 흡연자의 폐 기능에 미치는 효과
- 지역사회 거주 여성 노인의 폐 기능과 근감소증과의 상관성 연구
- 맥켄지 운동이 젊은 성인의 호흡 기능과 호흡근에 미치는 즉각적인 효과
- 건강한 성인 남성에서 측정 자세가 폐 기능 검사 결과에 미치는 영향
- COVID-19 기간 전·후에 따른 수영 선수의 폐활량과 무산소성 운동능력 및 체력의 비교 분석
- Effects of Diaphragm Breathing Training Through Visual Feedback on Diaphragm Movement and Lung Function in Normal Women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재활의학분야 BEST
- 중증정신질환자가 이용하는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한 체계적 고찰
- 대학생의 소셜 미디어에 대한 과도한 이용과 중독이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인지행동치료가 조현병 환자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계적 고찰
의약학 > 재활의학분야 NEW
- Electrophototherapeutic Resources Associated or Not With Exercise and Dosimetry Used in Subacromial Impingement Syndrome: A Scoping Review
- Comparison of Gluteus Medius and Quadratus Lumborum Muscle Activity During Hip Abduction Exercises in Individuals With Gluteus Medius Weakness
- Influence of Improvement in Respiratory Muscle Strength on Recovery of Balance and Gait Ability in Patients With Stroke: A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