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뇌졸중 환자의 삼킴 장애와 호흡기능, 호흡근 근력과의 상관관계
이용수 60
- 영문명
- Correlation between Dysphagia, Respiratory Function, and Respiratory Muscle Strength in Patients with Stroke
- 발행기관
- 대한심장호흡물리치료학회
- 저자명
- 이지연(Ji-Yeon Lee) 황은명(Eun-Myoung Hwang) 김진섭(Jin-Seop Kim)
- 간행물 정보
- 『대한심장호흡물리치료학회지』제12권 제1호, 7~12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재활의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Dysphagia is a common secondary complication in patients with stroke, and restrictive ventilation is observed.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dysphagia, respiratory function, and respiratory muscle strength.
Methods: In 20 patients with stroke, dysphagia was evaluated through videofluoroscopic swallowing tests. Based on a PAS score of 5,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a stroke group with and without dysphagia according to whether they were eligible for dysphagia treatment. Forced vital capacity (FVC),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 (FEV1),ratioofFEV1 to FVC (FEV1/FVC), peak expiratory velocity (PEF), and maximum inspiratory pressure (MIP) and maximum expiratory pressure (MEP) were assessed.
Results: Among the respiratory function evaluation factors, PEF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dysphagia between the two groups. Respiratory muscle strength in MIP and MEP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stroke group with dysphagia. After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ysphagia group and respiratory function in patients with stroke, PEF (r=−.660, p<.05), MIP (r=−.576, p<.05), and MEP (r=−.524, p<.05)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Conclusions: The lower the respiratory muscle strength in patients with stroke, the more likely they will experience dysphagia. This can be used as clinical data on respiratory exercises and swallowing rehabilitation for patients with strok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Ⅴ.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한심장호흡물리치료학회지 제12권 제1호 목차
- 뇌졸중 환자의 삼킴 장애와 호흡기능, 호흡근 근력과의 상관관계
- 만성폐쇄성폐질환을 가진 노인 남성의 호흡 근력과 신체 기능 및 근육량의 상관관계 연구: Pilot study
- 전방머리자세와 체질량지수가 호흡기능에 미치는 영향
- 가상현실을 이용한 호흡근 훈련의 집중력 변화가 흡연자의 폐 기능에 미치는 효과
- 지역사회 거주 여성 노인의 폐 기능과 근감소증과의 상관성 연구
- 맥켄지 운동이 젊은 성인의 호흡 기능과 호흡근에 미치는 즉각적인 효과
- 건강한 성인 남성에서 측정 자세가 폐 기능 검사 결과에 미치는 영향
- COVID-19 기간 전·후에 따른 수영 선수의 폐활량과 무산소성 운동능력 및 체력의 비교 분석
- Effects of Diaphragm Breathing Training Through Visual Feedback on Diaphragm Movement and Lung Function in Normal Women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재활의학분야 BEST
- 중증정신질환자가 이용하는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인지행동치료가 조현병 환자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조현병 환자에게 적용한 그룹인지재활프로그램이 인지기능과 작업적 참여에 미치는 효과
의약학 > 재활의학분야 NEW
- Effect of Neck Stabilization Exercise with Reverse Plank Exercise on Neck Alignment and Muscle Function in University Students with Forward Head Posture
- Comparison of sternocleidomastoid (SCM) muscle thickness in college students with forward and normal posture: an ultrasound cross-sectional study
- The effect of shoulder muscle exercise therapy on functional level, grip strength and pain in patients with lateral elbow tendinopath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