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圓仁의 『入唐求法巡禮行記』를 통하여 본 新羅譯語

이용수  13

영문명
Silla-yeokeo(新羅譯語)’s Activities and the Purpose of its Establishment in the 9th Century: A Reading of the Ennis’s Diary
발행기관
한국고대사탐구학회
저자명
장종진(Jong-Jin Jang)
간행물 정보
『한국고대사탐구』제7집, 139~166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4.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圓仁의 『入唐求法巡禮行記』에 보이는 新羅譯語의 기사를 중심으로, 그 활동 및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일본 고대사료 등에서 散見되는 역어와 통사의 용례를 확인하여, 신라역어의 설치 기원을 찾아보면서, 그 설치목적을 검토하였다. 신라역어는 ‘新羅人 譯語’ 또는 ‘新羅語 譯語’라는 의미를 가질 수 있는 용어이다. 그런데 신라역어의 활동을 검토한 결과, 그들은 기본적으로 일본어와 漢語의 통역을 담당하는 직능을 가진 사람들임을 알 수 있었다. 이들이 일본견당사에 설치된 목적은 唐 체재활동에서의 편의성, 항해술, 그리고 항해 중 신라에의 표착 가능성과 이의 해결 등을 위해서였다. 특히 항해업자로서 신라인이 뛰어난 기술을 소유했기 때문에, 이들을 日本人인 通事 또는 譯語와는 구별하여 고용했음이 주목된다. 따라서 신라역어는 신라 출신으로 漢語와 일본어, 그리고 신라어의 통역이 가능한 인물이며, 또한 그 용어 속에는 ‘신라인 역어’와 ‘신라어 역어’의 의미를 모두 담고 있던 것으로 판단했다. 사료 상에서 9세기를 전후한 시기에, 특징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신라역어’는 당시 동아시아사의 성격을 잘 보여주는 존재이다. 唐과 일본, 모두 외래인의 귀화에 대해서 개방적인 자세를 취한 사실과 신라에서는 내정불안에 따른 인민 이탈이 심화됨에 따라서 발생할 수 있었던 현상이기 때문이다. 특히 在唐新羅人社會가 형성됨으로써, 견당사 및 유학승은 唐에서의 활동을 위해서 신라인의 도움을 필요로하게 되었다. 그 결과 견당사에 통사·역어와는 별도로 신라역어를 格式으로 규정해 설치했다는 점이 주목된다.

영문 초록

This thesis examines the activities and features of Silla-yeokeo(新羅譯語), by mainly inspecting Ennin’s Diary. And it also identifies the examples of Yeokeo(譯語) and Tong-sa(通事) which are found in many pieces of historical documents on Ancient Japan. Silla-yeokeo can be translated into “an Silla interpreter”, or “an interpreter who speak the Silla language(新羅語).” By examining their activities, however, it can be found that they took on translating Japanese(日語) and Chinese(漢語) into the Silla language. The main purpose for establishing the post of Silla-yeokeo in the Japanese Mission to Tang(日本遣唐使), is for ensuring a convenient stay in Tang, using their navigation skills, and solving the problem of drifting to Silla. In particular, since Silla people got excellent navigation skills, they were hired separately from Japanese people. In other words, Silla-yeokeo was a man from Silla who can speak Japanese, Chinese, and Silla language. Therefore, “Silla-yeokeo” includes the meaning of “an Silla interpreter,” and “an interpreter who can speak Silla language” at the same time. In the historical documents around the 9th century, “Silla-yeokeo” is a factor that clearly demonstrates the feature of then East-Asia. Both Tang and Japan was open to foreigner’s naturalization, and Silla suffered from people’s drifting-away, mainly caused by the uncertainty of domestic affairs. Moreover, as Silla compatriots at Tang(在唐新羅人社會) were well organized, the Japanese Mission to Tang and Buddhist monks who studied abroad(留學僧) needed the help by Silla people for their activities in Tang. Therefore, it is noticeable that the Silla-yeokeo was established by regulation, separated from Tong-sa and Yoekeo.

목차

Ⅰ. 머리말
Ⅱ. 新羅譯語의 활동과 그 유형
Ⅲ. 新羅譯語의 용례 및 설치목적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종진(Jong-Jin Jang). (2011).圓仁의 『入唐求法巡禮行記』를 통하여 본 新羅譯語. 한국고대사탐구, (), 139-166

MLA

장종진(Jong-Jin Jang). "圓仁의 『入唐求法巡禮行記』를 통하여 본 新羅譯語." 한국고대사탐구, (2011): 139-1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