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5세기 후반 錦江 유역을 둘러싼 三國의 동향
이용수 31
- 영문명
- Trend of Three Kingdoms around Keumgang(Keum River) in the Late 5th Century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탐구학회
- 저자명
- 강민식(Min-Sik Kang)
- 간행물 정보
- 『한국고대사탐구』제6집, 93~127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30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百濟와 高句麗의 충돌이 계속되던 5세기 후반 新羅는 錦江 상류 지역에 三年 山城과 一牟城을 쌓았다. 그것은 백제가 고구려의 침입을 계속 받으면서 방어에 한계를 보이기 시작하자 고구려군의 西進을 방어하고 신라와의 군사협력을 담당하고 있었던 재지세력의 요구가 관철된 것으로 보인다.
금강 중ㆍ상류 지역 세력은 5세기 초부터 한강 유역을 통해 서진해 오던 고구려군을 방어하던 집단으로 475년을 전후한 시기에 중앙 정계에 등장하여 熊津都邑期 초기 주요한 세력으로 성장하고 있었다. 특히 신라와의 군사적 협력이 가능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親新羅的 재지세력으로 苩氏 세력과 沙氏 세력이 주목된다. 이들이 중앙 정계에 두각을 나타냄으로써 향후 東城王代의 대외정책을 결정짓는 주요한 변수가 될 수 있었다.
그리고 충주 지역을 거점으로 하여 동쪽에서 백제를 압박하던 고구려군은 481년 신라를 직접 공격한 후 484년 웅진을 직접 압박하였다. 484년 백제와 신라는 고구려의 공격을 母山成에서 양국의 군사협력으로 일단 저지할 수 있었으나 고구려군의 일부는 청원 지역까지 진출하여 웅진을 압박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494년 蕯水之原 전투를 통해 고구려군은 백제와 신라 연합군에 의해 완전히 패퇴하였다. 한강 이남의 경기 남부 지역에 자리한 고구려계 고분은 5세기 후반, 494년 살수지원 전투로 완전히 패퇴하기까지 군사활동의 결과로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Silla built SamNyunSanSung(三年山城 : three year mountain fortress) and IlmoSung(一牟城 : one cow fortress) in the upstream area of Keum River(錦江) while Baekje and Goguryeo were continuously having conflicts in the late 5th century. That seemed as a request for alliance in defense against Goguryeo from Baekje when Baekje ran into their limitation against Goguryeo’s frequent invasions.
The regional power around the midstream and upstream area of Keum River was the group defending against the Goguryeo army slowly moving forward through Han River and was advancing as the primary power of Woongjin(熊津) Capital of central political arena around 475 A.C. Specially, Sa family(沙氏) of Chungjoo Shinbongdonggobungoon erecting group and Baek family(苩氏) were thought to be responsible for possible cooperation of Silla. Due to the strong involvement of the two groups in the central political arena, they played a major roll in the future policy Dongsung Kingdom toward other countries.
The Goguryeo army based on Choongjoo putting a great amount of pressure toward Baekje directly invaded Silla in 481 A.C and then directly started putting pressure on Woongjin. During the battle of Mosan Fortress in 484 A.C, the Goguryeo army was stopped by the alliance force of Baekje and Silla, but some of Goguryeo army reached Chungwon area putting pressure on Woongjin. However, the army of Gogureyeo was completely defeated by the alliance force of Baekje and Silla in the battle of Salsoojeewon in 494 A.C. The ancient burial site in Goguryeo style located in southern Kyunggi area of south of Han River can be explained by the activities of the Goguryeo army in the late 5th century. Specially, it can be determined as the activities until their complete defeat in the battle of Salsoojeewon in 494 A.C.
목차
Ⅰ. 머리말
Ⅱ. 新羅의 三年山城 축조
Ⅲ. 錦江 유역 세력의 동향
Ⅳ. 高句麗의 錦江 유역 진출과 패퇴
Ⅴ.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