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소설에서 나타나는 ‘가난’의 의미

이용수  128

영문명
The meaning of 'poverty' in recent Korean novels
발행기관
한양대학교 유럽-아프리카연구소
저자명
임지훈(Jee-Hoon Lim)
간행물 정보
『글로벌 거버넌스와 문화』제4권 제1호, 7~32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4.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한국 소설에서 나타나는 ‘가난’의 양상이 어떻게 변화했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21년작 최은미의 『우리 여기 마주』, 2022년작 이서수의 『헬프미 시스터』, 2020년작 장은진의 「외진 곳」을 분석하였다. 2020년대를 기점으로 발표된 작품들에서 나타나는 ‘가난’의 형상은 단순히 개인의 문제를 의미하지 않는다. 최은미의 작품에서는 코로나 사태와 여성 문제가 돌출되었으며, 이서수의 작품에서는 긱 노동의 현실이, 장은진의 작품에서는 빈곤 비즈니스의 문제가 구체적으로 묘사되었다. 각각의 문제는 개인의 노력 여하에 의해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라, 사회의 구조적 문제를 포괄하고 있다. 이는 현대 사회에서 ‘가난’의 문제가 개인의 문제로 축소될 수 없고, 각각의 문제에 대한 사회적 개선의 노력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그러한 의미에서 최근에 발표된 소설에서 나타나는 ‘가난’의 형상은 한국 사회가 나아가기 위한 방향을 역설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examine how the representation of 'poverty' in Korean novels has changed. To do so, analyzed Choi Eun-mi's 『We face each other here』 from 2021, Lee Seo-soo's 『Help me Sister』 from 2022, and Jang Eun-jin's 「Isolated rooms」 from 2020. In the works published in the 2020s, the figure of 'poverty' is not simply an individual problem. In Choi Eunmi's work, the coronavirus pandemic and women's issues come to the fore, in Lee Seo-soo's work, the reality of gig labor, and in Jang Eun-jin's work, the problem of poverty businesses. Each of these issues is not something that can be solved through individual efforts, but rather encompasses structural problems in society. This means that the problem of 'poverty' in modern society cannot be reduced to an individual problem, but requires social improvement efforts for each problem. In that sense, the representation of 'poverty' in recent novels can be said to paradoxically suggest the direction in which Korean society should move forward.

목차

Ⅰ. 들어가며 - ‘가난’의 의미
Ⅱ. 도래할 파산의 공포로서의 ‘가난’
Ⅲ. 노동과 주거의 현실로서의 ‘가난’
Ⅳ.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지훈(Jee-Hoon Lim). (2024).한국 소설에서 나타나는 ‘가난’의 의미. 글로벌 거버넌스와 문화, 4 (1), 7-32

MLA

임지훈(Jee-Hoon Lim). "한국 소설에서 나타나는 ‘가난’의 의미." 글로벌 거버넌스와 문화, 4.1(2024): 7-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