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교원의 교권에 대한 판례 분석
이용수 200
- 영문명
- Legal Precedent Analysis on the Rights of Elementary School Educators
- 발행기관
- 대한교육법학회
- 저자명
- 김지연(Ji Yeon Kim) 엄문영(Moonyoung Eom)
- 간행물 정보
- 『1. 교육법학연구』제36권 제1호, 27~5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교원을 대상으로 한 판례 83건을 수집하고 이 중 선별된 21건을 분석하여 초등교육 현장에서의 교권에 대한 법적 쟁점을 규명하였다. 판례 분석 결과, 폭행·공무집행방해, 아동학대, 교육활동 침해 등이 주요 분쟁 유형으로 확인되었으며, 특히 학부모에 의한 교사 폭행과 공무집행방해 사례를 통해 교권 침해의 심각성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교사의 권리와 권한을 넘어서 학교폭력 피해자로서의 교사 관점으로 교권 논의의 관점 변화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연구는 초등교원의 교권 보호를 위한 법리적·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llected 83 legal precedents pertaining to elementary school educators and selected 21 of them for analysis to clarify legal issues about teachers' rights within the realm of elementary education. The analysis of these precedents identified assault and obstruction of public duty, child abuse, and infringement of educational activities as the main types of disputes. Notably, the precedents of teacher assault and obstruction of public duty by parents highlighted the seriousness of violations of teachers' rights. This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the teacher's perspective as a victim of school violence, beyond their rights and authority. Ultimately, this paper provides concrete and practical legal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protecting teachers' rights in the elementary education fiel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