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리튬 이차 전지 단입자 양극재의 합성법 및 연구 동향
이용수 48
- 영문명
- Recent Progress and Synthetic Methods for Single-crystalline Cathode in Lithium-ion Batteries
- 발행기관
- 한국세라믹학회
- 저자명
- 김태완(Taewan Kim) 강병구(Byeonggu Kang) 전민기(Mingi Jeon) 채수종(Sujong Chae)
- 간행물 정보
- 『세라미스트』제27권 제1호, 41~6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공학 > 화학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Ni-rich layered transition metal oxides have been regarded as the most feasible way for achieving high energy density of lithium-ion batteries. Conventional Ni-rich cathodes are composed of spherical secondary particles, consisting of numerous primary particles. Unfortunately, the grain boundaries in the polycrystalline structure are vulnerable to the pulverization, leading to microcracks during cycling. The newly exposed surface from the microcrack can induce undesirable side reactions with the electrolyte, which severely deteriorates the battery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single-crystalline Ni-rich cathodes have gained significant attention for industrial applications due to their robust mechanical strength, resulting from the elimination of grain boundaries. The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of single-crystalline cathodes effectively mitigate the interfacial side reactions, thereby attaining superior structural, thermal, and electrochemical performance. Herein, we have introduced various synthetic methods of the single-crystalline cathode, encompassing not only high-temperature sintering and the molten-salt method for the Ni-rich cathode but also the other strategies for different single-crystalline cathode materials. This review aims to provid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single-crystalline cathode synthesis, with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high-performance cathode materials.
목차
1. 서론
2. 리튬이온 전지용 단입자의 합성 기술
3. 결론
ACKNOWLEDGEMENTS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온 환경에서의 세라믹 소재 특성 평가: 유한요소분석의 최신 연구 동향
- Li7La3Zr2O12 고체전해질의 이종 도핑 효과에 따른 구조적, 전기적 특성 연구
- 차세대 소듐 이온 전지용 고성능 음극 소재 개발을 위한 최근 연구 동향
- 나트륨 이차전지용 양극재의 최근 발전동향
- 금속 질화물 박막의 원자층 증착 및 반도체 분야 응용 연구 동향
- 리튬 이차 전지 단입자 양극재의 합성법 및 연구 동향
- 고안정성 수계 아연 금속 배터리용 금속 수지상/부식 제어 음극 개발을 위한 표면 개질 최근 연구 동향
- 배터리 셀의 부피 팽창 감지용 PVdF-HFP/BTO 압전 센서 기반 압력 감지 시스템 설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화학공학분야 BEST
- 생태학적 이론에 근거한 성인 중도장애인의 장애수용 영향요인
- 그린워싱 인식에 따른 친환경 화장품 구매성향과 브랜드 충성도에 관한 연구: 브랜드 진정성의 매개효과
-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공학 > 화학공학분야 NEW
- Glycyrrhiza glabra L. 유래 Glabridin의 피부 및 미용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백 스쿼트 시 가변저항이 스티킹 포인트에 미치는 영향
- 골프 레슨자가 인식한 레슨프로의 코칭 행동이 레슨만족 및 지속의사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