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Conflicts of Offshore Wind Power Projects: Focusing on Licensing Institutional Process
- 발행기관
- 한국비교정부학회
- 저자명
- 김광구(Kwang-Koo Kim) 김하정(Hajung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비교정부학보』제28권 제1호, 137~166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e problems of climate changes have made renewable energy sources such as wind and sunlight become sustainable and alternative energy sources to fossil fuels. Korean government has made efforts to develop socio-economically sustainable renewable energy policies in order to reduce carbon emission levels, especially by utilizing offshore wind powers. Korean government has tried to develop several offshore wind farms but the offshore wind farm projects have faced serious public resistances due to the lack of public acceptance of local stakeholders. Hence this paper tries to find structural reasons of the public conflicts that all of the offshore wind farm projects have faced.
(Design/methodology/approach) First, this paper analyzes several public conflict cases (Bu-an·Gochang, Sin-an, Tong-yeong, Ulsan, and Incheon) of the offshore wind farms projects. Second, it finds the phases of the licensing and construction processes that the public conflicts have been initiated at. Finally, it tries to understand the reasons of the public conflicts of the offshore wind farm projects..
(Findings) Most of the public conflicts have been broken at the phases of the reviews and installations of the Windfarm Assessment Tools. This finding implies that local stakeholders have not been aware of the offshore wind farm projects before they had been made public. Furthermore the licensing rules of governments have not incorporated the positions and interests of local stakeholders into the development processes of the offshore wind farm projects.
(Research implications of Originality)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licensing rules of offshore wind farm projects need to be redesigned to make the interests of local stakeholders justifiabl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연구의 분석 틀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사라져가는 지역문화예술자원 조사방법 설계 연구
- Research on Promoting Uijeongbu's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Cultural Arts Resources Using Digital Human Technology
- 지식재산과 사회적 경제의 접목을 통한 ODA 지원 방안
- 지산학협력 활성화를 통한 지역혁신 생태계 구축방안 연구
- 지방정부 이원화 자치경찰제도의 도입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Hotel Economic Trend Predictive Model Using Machine Learning Models
- AI 기반 디지털 피부분석 시스템을 활용한 20대 피부특성 분석과 셀프케어 프로그램 개선방안
- Policy Failure in Africa: Focusing on Ethiopian ICT Education Policy
- 안전 관련 주요 법제 특징 비교
- 해상풍력 발전사업 갈등 연구
- SVM (Support Vector Machine) 방법을 이용한 한국의 Affirmative Action 기반 영향 요인 연구
- 지방정부 저출생 대응 쟁점과 정책과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경찰공무원의 보수체계 인식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 청소년 사이버폭력과 디지털 혐오표현의 폭력순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차별적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법원종합청사의 출입통제 및 CCTV 종합상황실 운영체계 고도화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