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Hotel Economic Trend Predictive Model Using Machine Learning Models
이용수 39
- 영문명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Hotel Economic Trend Predictive Model Using Machine Learning Models
- 발행기관
- 한국비교정부학회
- 저자명
- 이규태(Gyu Tae Lee) 홍경옥(Kyung Ok Hong)
- 간행물 정보
- 『한국비교정부학보』제28권 제1호, 21~4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Based on a total of 21 hotel economic trend data collected through the Korea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KOSIS) and the Korea Hotel Industry Association, this study uses a machine learning model to determine the prediction model estimation and the importance of variables to propose a differentiation strategy for hotels to preemptively respond to rapidly changing economic fluctuations.
(Design/methodology/approach) Based on previous research, a machine learning model was used to grasp the prediction accuracy and importance of variables in the hotel economic trend model. Data collection was based on a total of 12 years of data from 2011 to 2022, and the data cycle was set on a monthly and quarterly basis. On the other hand, the orange data mining 3.32 program, a machine learning program, was used to grasp the prediction accuracy of hotel business trends.
(Findings) The prediction accuracy was the highest in the linear form at 93.3%, followed by the neural network at 89.7%, linear at 83.3%, and support vector machine at 75.6%. In other words, it is judged that it is necessary to actively use adaboost and neural network models to predict hotel business trends and future time series models.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In order to predict hotel economic trends, in addition to existing macroeconomic indicators, room profit rate indicators, which directly affect hotel revenue, should be considered. Implications of this study provide academic and managerial sugges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suggested.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Background
Ⅲ. Methodology
Ⅳ. Results
Ⅴ. Conclusion and Implications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사라져가는 지역문화예술자원 조사방법 설계 연구
- Research on Promoting Uijeongbu's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Cultural Arts Resources Using Digital Human Technology
- 지식재산과 사회적 경제의 접목을 통한 ODA 지원 방안
- 지산학협력 활성화를 통한 지역혁신 생태계 구축방안 연구
- 지방정부 이원화 자치경찰제도의 도입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Hotel Economic Trend Predictive Model Using Machine Learning Models
- AI 기반 디지털 피부분석 시스템을 활용한 20대 피부특성 분석과 셀프케어 프로그램 개선방안
- Policy Failure in Africa: Focusing on Ethiopian ICT Education Policy
- 안전 관련 주요 법제 특징 비교
- 해상풍력 발전사업 갈등 연구
- SVM (Support Vector Machine) 방법을 이용한 한국의 Affirmative Action 기반 영향 요인 연구
- 지방정부 저출생 대응 쟁점과 정책과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경찰공무원의 보수체계 인식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 청소년 사이버폭력과 디지털 혐오표현의 폭력순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차별적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법원종합청사의 출입통제 및 CCTV 종합상황실 운영체계 고도화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