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여름과 가을의 주택실내 초미세먼지(PM2.5) 농도 측정 및 영향요인 비교
이용수 282
- 영문명
- Measurement of PM2.5 Concentrations and Comparison of Affecting Factors in Residential Houses in Summer and Autumn
- 발행기관
- 한국환경보건학회
- 저자명
- 김동준 민기홍 신지훈 최영태 최길용 심상효 양원호
- 간행물 정보
- 『한국환경보건학회지』제50권 제1호, 16~24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공학 > 환경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2.29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Background: Indoor PM2.5 concentrations in residential houses can be affected by various factors depending
on the season. This is because not only do the climate characteristics depend on the season, but the activity
patterns of occupants are also differen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factors affecting indoor PM2.5 concentrations in
apartments and detached houses in Daegu according to seasonal changes.
Methods: This study included 20 households in Daegu, South Korea. The study was conducted during the
summer (from July 10 to August 10, 2023) and the autumn (from September 11 to October 9, 2023). A sensorbased
instrument for PM2.5 levels was installed in the living room of each residence, and measurements were
taken continuously for 24 hours at intervals of one minute during the measurement period. Based on the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 data in Daegu, outdoor PM2.5 concentrations were estimated using ordinary
kriging (OK) in Python. In addition, the indoor activities of the occupants were investigated using a timeactivity
pattern diary. The affecting factors of indoor PM2.5 concentration were analyz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Indoor and outdoor PM2.5 concentrations of the residences during summer were 15.27±11.09 μg/m3
and 11.52±7.56 μg/m3, respectively. Indoor and outdoor PM2.5 concentrations during autumn were 13.82±9.61
μg/m3 and 9.57±5.50 μg/m3, respectively. The PM2.5 concentrations were higher in summer compared to
autumn both indoors and outdoors. The primary factor affecting indoor PM2.5 concentration in summer was
occupant activity. On the other hand, during the autumn season, the primary affecting factor was outdoor
PM2.5 concentration.
Conclusions: Indoor PM2.5 concentration in residential houses is affected by occupant activity such as the
inflow of outdoor PM2.5 concentration, cooking, and cleaning, as found in previous studies. However, it was
reveal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season.
영문 초록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내외 소비자 제품 노출평가모델을 이용한 노출량 비교
- 여름과 가을의 주택실내 초미세먼지(PM2.5) 농도 측정 및 영향요인 비교
- 인구 유동에 따른 서울시 대기 중 초미세먼지 농도 변화 요인 분석 및 노출평가
- 2018~2022년 경기 해안지역에서 분리된 비브리오패혈증균의 월별 분포 특성
- COVID-19로 인한 비대면 교육환경에서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간호전문직관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초청논문(종설)] 국제방사선방호위원회와 방사선방호체계
- 우려 화학물질에 대한 필수 용도 개념 적용 - PFAS, 6PPD, Benzene 중심으로 -
- [편집인의 글] 사람에게만 무해한 화학물질은 없다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제50권 제1호 목차
- 화력발전소 영향권 주민 거주지의 이격 거리별 중금속 및 휘발성유기화합물 대사체 노출 농도 비교 분석
- 태우는 생활화학제품(향초와 인센스 스틱)의 사용이 실내 공기질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환경공학분야 BEST
- 한국 대학생의 통학방법과 학업 스트레스 사이의 연관성 -지속가능한 교통과 학업 환경-
- 청소년의 액상형 전자담배 흡연과 알레르기비염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 국내 다양한 미소환경에서의 계절별 초미세먼지 및 오존 실내ㆍ외 농도 비
공학 > 환경공학분야 NEW
- 안전한 화학제품 설계를 위한 딥러닝 기반 화학물질 기능 및 용도 예측모델 개발
- 한국 소방관의 직업성 소음 노출과 청력에 대한 문헌고찰(1992~2024)
- [편집인의 글] 2024년 숫자로 돌아본 한국환경보건학회지는, 그리고 앞으로의 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