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nstitution of Cinema during the Colonial Period: Considering the Development of Movie Theaters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김려실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41호, 7~38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9.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firstly suggests a clear list of movie theaters during the colonial period through examining the preserved material and discovering new ones. According to the list, I explain changes in the institute of cinema from the silent film days to the last years of Japanese domination,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the movie theater system. The institute of cinema in Korea was reorganized by the rule of the colonial Japanese government since 1910. The colonial Japanese authorities basically followed the national film policy of Japanese interior Ministry and the currents of Japanese film industry directly influenced film market in Korea which established producing and distributing system through Japan. Theaters of the early silent film days specialized gradually into regular movie theaters and they were developed into the separated theaters by nation-language since the Byeonsa(film interpreter) system got settled. But the induction of a talkie system hastened the combination of the new technology and Japanese film majors that made Korean audience absorbed into Japanese movie theater. Consequently, Korean film industry was nationalized by Chosen film regulation in 1940, which resulted in the government managed theater. In conclusion, I point out movie theater during the colonial period had been changed complicatedly, connected to the colonial governmental system and the capital changes, as the 36-year colonial period never had been consistent.
목차
1. 일제시기 영화관 연구의 현황
2. 무성영화기 영화관의 언어-민족별 분리
3. 토키의 도입과 영화관의 체인화
4. 국가에 접수(接收)된 영화관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영화는 경찰 부패를 어떻게 재현하는가: 정당화와 침묵의 서사 분석
- 알모도바르의 영화 <룸넥스트도어 The Room Next Door>를 통해 본 죽음의 사회적 드라마
- 안성기의 스타 페르소나 연구: 1980년대 영화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