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Study on Narration of Woody Allen’ Film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김동호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86호, 219~23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우디 앨런의 영화 <이레셔널맨 >의 내레이션에 대한 것이다. 내레이션은 영화의 안팎에서 나타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내레이션의 활용은 영화의이야기를 자연스럽게도 연결해주고 명확하게도 만들어준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레이션의 활용은 현대 영화에서 줄어들고 있는 추세인데, 본 연구는 영화에서 내레이션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살펴보고자 한다. 내레이션은 다양하게 세분화되기도 하는데, 그 중에서 내적 독백은 영화의 이미지를 직접적이고 구체적으로 표현한다는 특징이 있다. 인간의 내면을 표현하는방법으로 쇼트의 활용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도 있겠지만, 이미지만으로 구현된이야기는 내적 독백과 구별됨은 자명해 보인다. 그렇다면 그와 같은 모호함을 불식시키는 내레이션의 활용은 영화의 이야기를 어떤 방식으로 풀어갈 수 있을까? <이레셔널맨>에서 내레이션은 에이브의 살인 사건에 대한 이야기를 연결하기도하고, 에이브의 정신세계, 사고 과정을 구체적으로 담아내기도 한다. 이러한 내레이션의 특징을 통해서 <이레셔널맨>의 이야기구조와 도스토옙스키적 텍스트의요구에 대해 파악해본다. 본 연구를 통해 영화에서 내레이션의 활용에 대한 분석과 지평이 확대되는 연구가 이어지길 기대해본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bout the narration of Woody Allen’s movie . Narration can appear inside and outside the movie, and the use of narration like this naturally connects the story of the movie and makes it clear. However, nevertheless, the use of narration is decreasing in modern movies, and we can analyze how the use of narration in movies can be done. Narration is also subdivided in various ways, among which the inner monologue is characterized by direct and concrete expression of the image of the movie. Although it is possible to actively utilize the use of shot as a way to express the inner human being, it seems obvious that a story embodied only with images is distinguished from an inner monologue. Then, how can the use of narration that eliminate such ambiguity develop the story of the movie? In , the narration explain the story of Abe’s murder, and also conveys Abe’s mental world and thought process in detail. Through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narration, we analyze the story structure of and the demands of Dostoevsky’s text. Through this study, It will be the good opportunity to analyze the use of narration and to expand Woody Allen’s research prospective.
목차
1. 들어가며
2. 이야기 구조 - 초월적 시공간의 경계
3. 내레이션 - 텍스트적 요구
4. 나오며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영화사에서 서양의 문예(文藝)는 무엇이었는가?
- 벤은 뱀파이어인가?
- <송곳니>: 상징적 거세의 우화
- 1950년대 ‘상하이 애니메이션스튜디오’가 민족화를 추구한 역사적 배경
- 캐릭터의 윤리적 행위와 승화, 그리고 관객의 전이
- 본격 영화관 키노(Kino)의 등장과 영화의 제도화
- 알모도바르 영화 <신경쇠약 직전의 여자들>의 여성주체 해석에 대한 연구
- 음식의 플롯, 미각의 미학
- 우디 앨런 <이레셔널맨>의 내레이션 연구
- 영화연구 게재논문 투고, 심사(수정), 게재확정일 외
- 영화연구 제86호 목차
- 북한영화의 국제 교류 관계 연구(1945-1972)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영화는 경찰 부패를 어떻게 재현하는가: 정당화와 침묵의 서사 분석
- 알모도바르의 영화 <룸넥스트도어 The Room Next Door>를 통해 본 죽음의 사회적 드라마
- 안성기의 스타 페르소나 연구: 1980년대 영화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