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ase Study on Fashion Design Class Using PBL-Based Design Thinking
- 발행기관
- 한국정치사회연구소
- 저자명
- 구미란 권정숙
- 간행물 정보
- 『한국과 국제사회』제7권 제6호, 755~77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패션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실제 문제 해결을 위해 필요한 지식을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하고, 이를 실제 상황에서 적용하여 협업을 통한 창의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습득할 수 있는 PBL 기반 디자이씽킹을 활용한 패션디자인 수업모델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 내용은 PBL과 디자인씽킹의 핵심 요소들을 융합한 DT-PBL 모델을 적용한 수업을 설계하고 부마민주항쟁 기념상품개발이라는 실제적인 시나리오를 중심으로 문제해결안을 도출해가는 수업 과정을 운영하였다. 수업 운영 결과, 학습자는 자기 주도적 학습 활동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소통과 협업 능력을 발휘하여 창의적인 문제해결안을 도출하는 역량이 향상되는 학습 성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DT-PBL은 패션 관련 전공 PBL 교과목 수업 설계 시 디자인씽킹을 활용하여 패션산업 현장의 실무를 창의적이고 자기 주도적으로 문제해결안을 도출할 수 있는 효율적인 패션디자인 수업모델과 수업사례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teaching model using PBL-based design thinking that can learn the knowledge necessary for solving real problems in the field and acquire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through collaboration by applying it in real situations. The content of the study was to design a class that applied the DT-PBL model that fused the key elements of PBL and design thinking and to derive a problem solution based on a practical scenario of developing a commemorative product for the Buma Democratic Uprising. As a result of class operation, learners were able to identify learning outcomes that induce class motivation through empathy and improve their ability to derive creative problem solutions by demonstrating collaboration skills in the process of self-directed learning activities. Therefore, DT-PBL expects to use design thinking when designing PBL courses for fashion-related majors as an efficient instructional model and instructional case to creatively and self-directed problem solving practices in the fashion industry.
목차
I. 서론
II. 선행 연구 및 이론적 배경
III. DT-PBL 융합 모델을 적용한 수업 설계 및 운영
IV. 연구결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과 국제사회 제7권 제6호 목차
- 한국 민주화운동의 정신 계승과 선양의 의미
- 19세기 콜롬비아 보고타의 수도 위상에 대한 도전과 대응
- 일제강점기 2・8 독립선언과 한국 유학생 활동 고찰
- 국내외 아동의 자기애 연구 메타 분석
- ‘탈진실’ 시대 미디어 리터러시 개념과 공영방송의 역할
- 자본주의 다양성 이론의 변화 양상과 함의
- 서양인들의 아리랑에 대한 인식조사와 교수모형 연구
- 다문화 애니메이션 영화에 나타난 서사 구조와 문화 차원 고찰
- 유럽에서의 중국 공공외교에 관한 연구
- 4·19혁명정신 계승과 선양
- 독일어권의 사물인터넷 기반의 빅데이터와 블록체인을 활용한 사회변화
-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flexible work system and organizational satisfaction in public sector: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and age
- 민주시민교육과 통일교육의 관계모델 탐색
- 내면화된 수치심이 부부관계 진솔성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 ‘를’ 중출문의 원인 연구
- 이승우 소설 「방」에 ‘내적 욕망과 자기발견’으로 나타나는 치매 모티프 연구
- 중국 웹툰에서 2D 애니메이션으로의 매체 전환의 시각 연구
- 정부・공공기관 LMO 홈페이지(정보시스템) 비교 분석
- 청말·민국 시기 중국 지리교과서에 나타난 한국 인식의 변화
- 사회복지학에서의 융합교육에 관한 인식과 전망
- 브라질 고등학교 사회과 교과서에 나타난 한국에 대한 인식 연구
- 정부주도형 중국 두 생태박물관 비교 분석 연구
- 중년기 정서적 불안에 대한 강화요인으로서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삶의 의미
- 일본 지방자치단체의 외국인주민 보건의료 지원 정책 연구
- 희귀난치 환아 가족의 생활 실태와 지원을 위한 방안연구
- The Effects of Playfulness and Self-Regulation on Social Competence in Chinese 3-Year-Olds: Focusing on Shanxi Sheng, China
- 공동체 미학의 애니메이션 캐릭터 창조에 대한 응용 연구
-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장애인 우울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청소년기 또래관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SNS중독의 매개효과 검증
- 예비 교사 및 현직 교사 대상 인공지능교육 연구 현황 분석
- PBL기반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패션디자인 수업사례 연구
- 한국 유권자들의 이념적 정렬과 정서적 양극화
- 거점 세종학당을 통한 세종학당 현지화 연구
- 역사적 제도주의의 관점에서 박정희 정부의 국회의원 선거제도 분석
- 자침(磁針) 없는 나침반
- 마음챙김 명상의 주의 자각이 말기 암 환자의 죽음불안 감소에 미치는 효과
- 포퓰리즘은 반(反)민주적인가? 라클라우(E. Laclau)의 구성주의적 포퓰리즘 이론과 민주적 혁신
- 만성질환자의 의료기관 유형별 의료이용 경험과 건강 결과의 차이분석
- 마비전의 진화에 따른 특수작전부대 운용에 관한 연구
- 영화 캐릭터 이미지 구현요소가 관객의 관람만족 및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중년기 성인의 노화불안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연극중심 문화예술교육 운영 및 대학생의 경험 연구
-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대처와 감사성향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 한국 조선산업정책의 변화 분석
- 미국 바이든 행정부의 대북인권정책과 한국의 대응전략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한국과 국제사회 제9권 제4호 목차
- 지역가치형 비즈니스모델 분석을 통한 지역문화의 경제적·문화적 가치증진 방안 연구
- 문화적 도시재생에 의한 공간의 사회적 생산 사례 연구 : 이탈리아 Farm Cultural Park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