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앙상블 머신러닝 모델을 활용한 치매 예측

이용수  205

영문명
Predicting Dementia Using Ensemble Machine Learning Models: Focusing on Exercise and Sleep Information
발행기관
제주대학교 관광과경영경제연구소
저자명
조민정(Minjeong Jo) 정선우(Sunwoo Jung) 안진현(Jinhyun Ahn)
간행물 정보
『산경논집』Vol. 43 No. 2, 91~109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고령화 사회가 되어가면서 노인 질병에 관해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 중, 일상생활에 지장을 많이 주는 노인성 치매는 기술이 발달하여도 완치할 수 있는 치료법이 없기 때문에 초기에 발견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하지만 이러한 치매 예측을 위하여 수많은 사전 연구들에서는 MRI, 망막 이미지 영상 데이터 등 지속적인 촬영과 비용이 필요하다. 이러한 방법들은 모든 사람들에게 적용시킬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치매 예측 발견의 저비용에 관한 발전을 위하여 운동 시간, 고강도 활동 시간, 신진대사량 등 여러 활동 데이터와 깊은 수면 시간, 분 당 호흡 수 등 수면의 질을 알 수 있는 수면 데이터를 활용하여 XGBsoot 와 lightGBM과 같은 딥러닝 예측 모델을 이용하여 치매 여부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친 주요 변수들을 알아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 결과, 활동 데이터와 수면 데이터를 동시에 고려했을 때 치매 예측 성능이 가장 잘 나왔고, XGBoost 모델에서 가장 중요한 변수는 ‘매 시간당 활동 유지 점수’이었고, lightGBM은 ‘분당 평균 심박동 수’ 이었다.

영문 초록

As we become an aging society, there is a growing concern about geriatric diseases. Among them, senile dementia, which disrupts daily life, is best detected at an early stage because there is no cure, even with technological advances. However, many preliminary studies to predict dementia require continuous imaging data, such as MRI and retinal imaging data, and are expensive. These methods have the disadvantage that they cannot be applied to all people, so this study aims to develop low-cost predictive dementia detec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ain variables that most influenced the presence of dementia using deep learning prediction models such as XGBsoot and lightGBM by utilizing various activity data such as exercise duration, high-intensity activity duration, and metabolic rate, and sleep data such as deep sleep duration and breathing rate per minute to determine sleep quality.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best dementia prediction performance was achieved when both activity and sleep data were considered simultaneously, and the most important variable in the XGBoost model was the “activity_score_move_every_hour” and the “sleep_hr_everage” in lightGBM.

목차

Ⅰ. 서 론
Ⅱ. 관련 연구
Ⅲ. 데이터 수집 및 전처리(신명조, 13)
Ⅳ. 데이터 분석
Ⅴ. 결과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민정(Minjeong Jo),정선우(Sunwoo Jung),안진현(Jinhyun Ahn). (2023).앙상블 머신러닝 모델을 활용한 치매 예측. 산경논집, 43 (2), 91-109

MLA

조민정(Minjeong Jo),정선우(Sunwoo Jung),안진현(Jinhyun Ahn). "앙상블 머신러닝 모델을 활용한 치매 예측." 산경논집, 43.2(2023): 91-10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