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f Network Anomaly Detection and Prediction in IoT Using Vector Autoregressive Models
- 발행기관
- 한국컴퓨터게임학회
- 저자명
- 이동건(Dong Gun Lee) 조옥희(Ok Hue Cho)
- 간행물 정보
-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제36권 4호, 135~140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공학 > 컴퓨터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네트워크 이상 감지 및 예측을 위해 벡터 자기회귀(VAR) 모델의 사용을 비교 분석한다. VAR 모델에 대한 간략한 개요를 제공하고 네트워크 이상 체크로 사용 가능한 두 가지 버전을 검토하며 두 종류의 VAR 모델을 통한 경험적인 평가를 제시한다. VAR-Filtered moving-common-AR 모델이 단일 노드 이상 감지성능에서 우수하며, VAR-Adaptive Learning 버전은 몇 개의 노드 간 이상을 효과적으로 식별하는 데 특히 효과적이며 두 가지 주요VAR 모델의 전반적인 성능 차이에 대한 근본적인 이유도 분석한다. 각 기술의 장단점을 개요로 제공하고 성능 향상을 위한 제안도 제시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conducts a comparative analysis of Vector Autoregressive (VAR) models for network anomaly detection and prediction, focusing on two specific VAR versions. It empirically assesses their effectiveness in detecting and forecasting anomalies, finding that the VAR-Filtered moving-average-AR model excels in single-node anomaly detection, while the VAR-Adaptive Learning model is more effective for detecting anomalies across multiple nodes. The study explores the reasons behind the performance differences of these models and compares VARs with other methods like Markov Chain Monte Carlo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s, using datasets based on real-world and fictional network scenarios. It evaluates the trade-offs between these techniques and provides insights into their advantages, disadvantages, and potential improvements for network anomaly detection.
                    목차
1. Introduction
	                       
	                          2. Related Studies
	                       
	                          3. PROPOSED MODEL
	                       
	                          5. Result and Analysis
	                       
	                          Acknowledgement
	                       
	                          Reference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손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사용하는 가상현실 게임에 관한 연구
- 벡터 자기회귀 모델을 이용한 IoT에서의 네트워크 이상 탐지 및 예측 비교 연구
- 인터랙티브 미디아트에서 활용한 언어학적 음성인식 사례연구
- 메타버스 플랫폼 개발 도구의 구조 비교 분석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게임 미디어 아트 연구
- 보드게임 디자인 방법론 CDR모델 설계에 관한 연구
- 생성형 인공지능 이미지를 활용한 미디어아트 창작 작품 사례 연구
- 로블록스 플레이어의 게임 동기와 아바타 인식 사이의 관계 탐색
- 대형 데이터셋을 활용한 대규모 실시간 생존 게임의 협업 네트워크 분석
- 생성형 AI를 활용한 기초시각디자인 연구
-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미디어중독의 관계에서 부부갈등의 매개효과
- 환경 교육용 보드게임 개발 연구
- 안정적 확산모델에 기반한 예술적 게임 배경도시 스케치 생성 프레임워크
- 디지털 게임 내 성폭력 피해/가해 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향상된 유닛 생산과 게임 플레이 경험을 위한 스타크래프트 II 강화학습 AI
- 강화학습을 이용한 대전 슈팅 게임의 플랫폼 형태에 따른 레벨 디자인 영향 분석
- 공포 방 탈출 게임 ‘The Ampoule’의 설계 및 구현
-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한글 교육 방법 제안
- 뇌성향별 선호도에 따른 학습가이드라인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컴퓨터학분야 BEST
- 공서비스 공급 관점에서 살펴본 비의료 건강관리서비스 인증 시범사업과 의료민영화 논쟁
- 특허정보를 활용한 국내 반려동물 산업의 기술 융합 동향에 관한 연구: 네트워크 분석과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 지도서비스를 이용한 위치 기반 관광 빅데이터의 시각화
공학 > 컴퓨터학분야 NEW
- 게임 바이오 해저드의 캐릭터 성격분석 연구: 머레이의 욕구 및 압력 이론을 중심으로
- 보드게임 밸런스 요인과 플레이어 경험의 상관관계 분석 연구
- 생성형 AI 이미지 도구의 단계별 학습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