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CALLA를 적용한 외국인 학부생 대상 토론 전략 수업 설계
이용수 3
- 영문명
- A Study of Design in Korean Debating Strategy Classes Applying CALLA for Foreign Undergraduates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이선영 김수은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69호, 161~19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method for debate strategy classes, applying CALLA (Cognitive Academic Language Learning Approach) to teach debate to foreign undergraduates. Originally, CALLA, which was developed by Chamot & O’Mally (1987), is used as an integrated teaching model comprised of content subject instruction, academic language development, and explicit instruction in learning strategies. Instruction based on CALLA has five steps: introduction, preparation, practice, self-assessment, and expansion. Among these five steps, the self-assessment and expansion stages differ from existing activities in communicative language instruction in that they require students to take the lead in the class. In this study, 118 students were surveyed in order to design curriculum based on CALLA in consideration of students’ propensity to learn and their own culture. As a result, ‘practice’ was named as the stage that students most need to perform sufficiently. In addition, when asked what the teacher should dedicate sufficient time to in class, students also placed high emphasis on methods and progress for using debate strategies effectively. On the other hand, one characteristic that we identified was that, for activities which the students perform by themselves, such as ‘self-assessment’, demand proved to be low. According to the students’ needs survey, this study suggests an example of refutation strategy instruction using on 3 session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검토
3. 학습자 대상 요구 조사
4. CALLA를 적용한 토론 전략 수업의 예
5. 결론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교사의 쓰기 평가 문식성 연구
- CALLA를 적용한 외국인 학부생 대상 토론 전략 수업 설계
- 중국 범주강삼각주 지역 한국 문학 교육의 현황과 문학 교육 방안 연구
- 한국어교육에서의 모듈식 교수-학습 모델 개발 연구
- 한국어 관용어 처리와 학습 전략의 상관성 연구
- 재한 외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수준별 문화적응 요인 및 문화적응 전략 비교 연구
- A Case Study of a Korean-English Emergent Bilingual Child in a Korean Ethnic Community School in the U.S
- 한국어 도우미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자와 교수자 간 인식 차이 분석
- 한국어 능동적 수동적 어휘습득에 관한 구조방정식 모형
- 한국어 논증적 글쓰기 교육을 위한 한 중 신문 사설 개입 대조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