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베토벤의 《현악 4중주 Op. 18, No. 1》 1악장 판본 연구에 대한 비판적 고찰
이용수 55
- 영문명
- A Critical Review of Research on the Two Versions of Beethoven’s String Quartet Op. 18, No. 1, First Movement
- 발행기관
- 한국서양음악학회
- 저자명
- 김서희
- 간행물 정보
- 『서양음악학』제26권 제2호, 63~9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1.15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1770-1827)의 《현악 4중주 Op. 18》은 아멘다 버전(Amenda version, 1799)과 출판본(Final version, 1801)이 모두 독립된 완성본의 형태로 남아있어 완성본과 완성본 사이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두 완성본의 차이에 대한 중립적인 비교를 넘어 우열에 대한 가치 평가가 가능함을 주장하는 학자들까지 등장하기 시작하면서, 이후 《현악4중주 Op. 18》은 논쟁의 중심에 서게 되었다.
1982년 음악학자 재닛 레비(Janet Muriel Levy, 1938-2004)에 의해 저술된 Beethoven’s Compositional Choices: The Two Versions of Opus 18, No. 1, First Movement은 ‘아멘다 버전은 열등한 작품이다’이라는 명제를 남겼고 이후 이를 토대로 한 후속 연구 및 다양한 논쟁을 이어지게 했다. 그러나 레비의 저술은 아멘다 버전이 출판본보다 열등하며, 아멘다 버전 이후의 출판본이 ‘수정’이 아닌 ‘개선’이라는 관점 위에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는 두 버전이 추구하고 있는 각기 다른 음악적인 목표를 고려하지 못한 전제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표는 출판본이 더 우세하다는 기존 학계의 통념 및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새로운 관점’을 통해 두 개의 버전을 ‘동등한 관계’로 전제함으로써 레비의 연구를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현악 4중주 Op. 18, No. 1》의 두 버전의 차이가 ‘우열’보다는 ‘다름’에 의거함을 객관적으로 검토하고, 아멘다 버전이 주체적이고 독립적인 작품으로 기능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String Quartet Op. 18, No. 1 by Ludwig van Beethoven(1770-1827) exists in two independent completed versions: the Amenda version(1799) and the Final version(1801), allowing for an understanding of the changes between the two versions. With scholars claiming that it was possible to evaluate the value of each version at a level beyond neutral comparison, String Quartet Op. 18, No. 1 became the center of debate. Beethoven’s Compositional Choices: The Two Versions of Opus 18, No. 1, First Movement, written by the musicologist Janet Muriel Levy(1938-2004) in 1982, left the proposition that the Amend version was inferior to the Final version. This stimulated follow-up research and various related discussions. However, Levy’s work did not take into account the different musical goals pursued by each version as it was based on the perspective that the Final version was not a “revision” but an “improvement.”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s Levy's research by adopting a “new perspective” on the two versions and presuming them to be in an “equal relationship,” deviating from the academic community’s conventional view that the Final version is superior. Through this approach, it objectively reviews the two versions of String Quartet Op. 18, No. 1 not based on a hierarchical evaluation but on the premise of “difference,” and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the Amenda version can function as an independent work by itself.
목차
1. 들어가는 글
2. 아멘다 버전과 출판본에 대한 역사적 접근
3. 아멘다 버전과 출판본에 대한 음악 분석적 접근
4. 나가는 글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