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Radiological and Geochemical Assessment of Different Rock Types from Ogun State in Southwestern Nigeria
이용수 116
- 영문명
- Radiological and Geochemical Assessment of Different Rock Types from Ogun State in Southwestern Nigeria
- 발행기관
- 한국환경보건학회
- 저자명
- Olabamiji Aliu Olayinka Alausa Shamsideen Kunle
- 간행물 정보
- 『한국환경보건학회지』제49권 제5호, 251~261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공학 > 환경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Background: This paper deals with the study of natural radioactivity in rocks from Ogun State in
Southwestern Nigeria. The aim is to determine radiation emissions from rocks in order to estimate radiation
hazard indices.
Objectives: The following objectives were targeted: 1. To determine radiation emissions from each type of
rocks; 2. To estimate radiation hazard indices based on the rocks; 3. To correlate the activity concentrations of
radionuclides with major oxides.
Methods: The samples were analyzed using a NaI (Tl) gamma ray spectrometric detector and PerkinElmer
AAnalyst 400 AAS spectrometer.
Results: The activity of 40K, 226Ra, and 232Th were found in order of decreasing magnitude from
pegmatite>granite>migmatite. In contrast, lower concentrations were found in shale, phosphate, clay stone,
sandstone and limestone. The mean absorbed doses were 125±23 nGyh–1 (migmatite), 74±13 nGy/h (granite),
72±13 nGyh–1 (pegmatite), 64±09 nGyh–1 (quartzite), 45±16 nGyh–1 (shale), 41±09 nGyh–1 (limestone), 41±11
nGyh–1 (clay stone), 24±03 nGyh–1 (phosphate), and 21±10 nGyh–1 (sandstone). The outdoor effective dose
rates in all rock samples were slightly higher than the world average dose value of 0.34 mSvy–1. The percentage
composition of SiO2 in the rock samples was above 50 wt% except for in the limestone, shale and phosphate.
Al2O3 ranged from 4.10~21.24 wt%, Fe2O3 from 0.39~7.5 wt%, and CaO from 0.09-46.6 wt%. In addition,
Na2O and K2O were present in at least 5 wt%. Other major oxides, including TiO2, P2O5, K2O, MnO, MgO and
Na2O were depleted.
Conclusions: The findings suggest that Ogun State may be described as a region with elevated background
radiation. It is recommended that houses should be constructed with good cross ventilation and residences
should use home radiation monitoring instruments to monitor radon emanating from wall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제49권 제5호 목차
- [편집인의 글] 환경보건 통합데이터 활용 및 플랫폼 관리의 중요성
- Radiological and Geochemical Assessment of Different Rock Types from Ogun State in Southwestern Nigeria
- 경기도 기초지자체 대기환경 관리정책 지원을 위한 선행 연구
- 비소 만성 노출의 건강영향에 대한 고찰
- 화학사고 예방을 위한 사업장 화학안전캠페인 활동 사례
- 한국인의 체내 중금속(납, 수은, 카드뮴)의 노출수준 및 노출경로별 기여율 평가 - 제4기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2018~2020) -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환경공학분야 BEST
- 한국 대학생의 통학방법과 학업 스트레스 사이의 연관성 -지속가능한 교통과 학업 환경-
- 미세플라스틱의 개념과 해양에서의 발생, 이동, 생물영향 및 관리대책
- 도심환경교통(Urban Air Mobility, UAM) 도입에 따른 소음 문제에 대한 시론 -UAM 소음의 특성과 잠재적 건강영향: 연구 방향 및 관리를 위한 정책적 고려사항-
공학 > 환경공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