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Adequacy and Efficiency of Driving Records Factor in Automobile Insurance Underwriting System
- 발행기관
- 한국리스크관리학회
- 저자명
- 김두철
- 간행물 정보
- 『리스크관리연구』11권 2호, 125~15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0.12.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1990년대 이후 세계 전역에 걸친 대재해 리스크(catastrophe risk)의 발생과 이에 따른 손실은 그 규모에 있어서 보험제도의 안정적 운영을 저해하게 되었다. 그리고 손해보험산업이나 재보험산업은 대재해 리스크의 발생과 관련된 문제점에 대응하기 위하여 금융시장을 활용하게 되었다. 즉 대재해 리스크와 관련된 언더라이팅 리스크를 관리하기 위하여 금융 시장을 통한 새로운 금융수단의 활용에 주목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먼저 대재해 리스크를 관리하기 위한 노력을 리스크통제 측면과 리스크재무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둘째, 리스크재무 측면에서 전통적인 재보험제도를 보완하여 대재해 리스크를 관리하기 위해 활용되기 시작한 대표적 금융수단인 보험관련 채권(Insurance-Linked Securities)과 보험파생상품(Insurance Derivatives)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끝으로는 이와 같은 새로운 금융수단의 한계 및 성장잠재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영문 초록
Potential losses from natural catastrophes such as storm and earthquake risks in the USA have threatened the available capacity in the insurance and re-insurance markets. Thus the search for new capacity has led to the prospect of trading insurance risks. The first attempt to do this was the derivatives using futures on catastrophe loss indices and related options. Parallel to this activities, several investment intermediaries developed models for the securitization of catastrophe risks in cooperation with insurance companies in order to place such risks directly with investors in the form of bonds. In the following, insurance bonds and derivatives are analysed as an alternative risk transfer mechanisms within the context of natural catastrophe risks. In addition, the limitations and outlook of these new instruments are also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의 목적
Ⅲ. 문헌연구
Ⅳ. 우리나라의 자동차보험 제도
Ⅴ. 요율차등화제도
Ⅵ. 제도분석
Ⅶ.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