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Causality between Commercial Insurance and Industry Growth
- 발행기관
- 한국리스크관리학회
- 저자명
- 이현복 정홍주 오태형
- 간행물 정보
- 『리스크관리연구』20권 2호, 129~15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2.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최근 금융부문과 실물경제의 관계에 대한 연구의 흐름과 맥을 같이하여 기업성 보험의 성장이 기업에게 거래의 안정성을 제공하고 재무적 건전성을 증대시킴으로써 산업의 성장과 발전에 기여하는지를 실증적으로 밝히고자 계획되었다. 이를 위하여 종속변수로 기업의 성장과 발전을 나타내는 지표인 1988년부터 2006년까지의 산업별 성장률과 어음부도율을 사용하고, 독립변수로 동기간의 기업성 보험(화재보험, 해상보험, 보증보험, 특종보험 등)의 원수보험료와 지급보험금을 선정하여 인과관계분석(Granger Causality)과 분산분석(VAR)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산업별 성장률과 기업성 보험의 성장률과의 관계는 산업별 차이를 보였다. 우선 광공업과 제조업의 경우 기업성 보험의 성장이 개별산업의 성장과 인과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두 산업이 수출산업으로서 기업성 보험이 거래비용의 감소효과뿐만 아니라 기업의 생산활동의 안정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여 개별산업 성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서비스업도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어 기업성 보험의 성장과 서비스 산업의 성장이 양방향 상호영향을 주고받는 쌍방향적 관계로 이해 가능하다. 기업성 보험의 지급보험금과 기업의 성장률을 살펴보면, 우선 제조업과 서비스업, 순생산물세의 성장률은 기업성 보험의 지급보험금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경우 기업성 보험의 지급보험금이 기업의 재무적 건전성을 증대시킴으로써 거래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제고하여 기업 간 거래를 활성화시키고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을 안정화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기업의 어음부도율과 기업성 보험의 지급보험금은 양방향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최근 기업이 어음보험****의 활용도가 높아 기업의 어음부도율이 높을수록 지급보험금의 규모가 커지는 당연한 결과뿐만 아니라 기업성 보험의 지급보험금의 규모는 기업의 어음부도율의 선행지표로도 활용 가능함을 나타낸다. 본 연구는 실문경제 부문이 금융부문을 견인하는 것뿐만 아니라 금융부문이 실물경제를 견인한다는, 즉 기업성 보험의 성장이 기업에게 거래의 안정성을 제공하고 재무적 건전성을 증대시킴으로써 산업의 성장과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밝힌 것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ercial insurance and industry growth. For that reason, the study uses an independent variable for the rate of commercial insurance growth and a dependent variable for the rate of industry growth from 1988 to 2006.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is the time series analysis of the Granger-Causality and Vector Auto-regression model. The results of the Granger Causality test and Vector Auto-regression show that the growth of the industry affects the commercial insurance growth, and it is affected by the commercial insurance growth. As seen in the above study findings, the growth of commercial insurance results in industry growth by offering the company the stability of transactions and financial soundness. This study is important as it makes an initial empiric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ercial insurance and industry growth. However, its limitation is that it does not reflect qualitative factor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Global Business and Finance Review Vol.30 No.9 Contents
- Critical Success Factors (CSFs) for Building a Sustainable Ecosystem in Rural Entrepreneurship
- Driving Startup Performance through Digital Transformation, Innovation, and Sustainability: The Mediating Effects of Efficiency and Brand Positioning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