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개인신용정보와 개인용자동차보험 사고발생확률 및 손해율 간의 상관관계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sonal Credit Information and Probability of Loss as well as Loss Ratio: A Case for Personal Comprehensive Automobile Insurance
발행기관
한국리스크관리학회
저자명
정재욱 손승호
간행물 정보
『리스크관리연구』20권 2호, 17~58쪽, 전체 42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12.31
7,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개인신용정보와 개인용자동차보험 사고발생확률 및 손해율 사이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이를 근거로 보험정보와 개인신용 정보를 활용한 자동차보험 사고확률 및 손해율 예측모형을 개발하고, 다양한 관점에서 모형의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대형 손해보험사의 개인용자동차보험 데이터와 국내 최대의 개인신용정보를 보유한 신용정보회사의 데이터를 각각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의 신용등급(1-10등급)과 보험사고(사고빈도 및 손해율)와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개인용자동차보험의 경우 이들 사이에 매우 밀접한 상관관계가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별 신용정보와 보험사고 사이의 상관성 분석을 통해 개별 신용정보가 보험사고(사고빈도 및 손해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전반적으로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순수 보험정보만을 이용한 모형1과 모형1에 비우량 신용정보를 추가로 고려한 모형2, 모형2에 우량 신용정보까지 고려한 모형3을 각각 개발한 후, 모형별 적중률과 승인율에 따른 보험사고발생확률 및 손해율을 종합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순수보험정보만 고려한 경우보다는 비우량 신용정보를 추가로 고려한 모형의 예측력이 좀 더 우수하며, 여기에 우량 신용정보까지 추가 반영할 경우 모형의 예측력이 가장 우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design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sonal credit information and probability of loss as well as loss ratio of personal comprehensive automobile insurance. Furthermore, by employing insurance-specific information and personal credit information, three different models predicting probability of loss and loss ratio were developed and then compared each other from various perspectives. The brief summary of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ersonal credit ranking(from 1 to 10) is strongly and positively related with probability of loss as well as loss ratio of personal comprehensive automobile insurance.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ranking, the lower the probability of loss as well as the loss ratio. Second, the major individual personal credit information also has very close relationships with probability of loss as well as the loss ratio of personal comprehensive automobile insurance. Third, by using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ree different models were identified and compared respectively: `model 1` employing insurance-specific information only, `model 2` employing insurance-specific information as well as negative credit information, and `model 3` employing insurance-specific information as well as negative and positive credit information. Based on various comparisons using hit ratio and acceptance rate, it may be concluded that `model 3` is the best, `model 2` is the better, and `model 1` is a good indicator of predicting probability of loss as well as the loss ratio of personal comprehensive automobile insurance.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데이터 및 분석방법론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재욱,손승호. (2009).개인신용정보와 개인용자동차보험 사고발생확률 및 손해율 간의 상관관계 연구. 리스크관리연구, 20 (2), 17-58

MLA

정재욱,손승호. "개인신용정보와 개인용자동차보험 사고발생확률 및 손해율 간의 상관관계 연구." 리스크관리연구, 20.2(2009): 17-5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