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가처분소득기준 생애소득대체율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The Estimation of Lifetime Net Income Replacement Rates
발행기관
한국리스크관리학회
저자명
신승희 이항석
간행물 정보
『리스크관리연구』25권 3호, 113~142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2.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금 소득대체율은 은퇴 전 소득 대비 연금 급여액의 비율로 연금의 급여수준을 파악해 볼 수 있는 유용한 지표이다. 이에 연금의 급여수준 또는 은퇴 후 필요소득을 분석하기 위해 소득대체율을 이용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선행연구 대부분에서는 은퇴시점이나 특정 은퇴기간의 연금액을 은퇴 전 총소득으로 나누어 소득대체율을 측정하고 있다. 그러나 연금수급자의 경우 근로자에 비해 소득세를 적게 납부하거나 사회보험료 및 연금보험료를 부담하지 않기 때문에 총소득을 기준으로 소득대체율을 산출하는 경우 연금 급여수준을 과소평가할 수 있다. 또한 수급시점이 경과함에 따라 즉, 수급자가 고연령이 됨에 따라 연금액의 실질가치가 하락하기 때문에 은퇴시점 또는 특정 은퇴기간의 연금액을 기준으로 소득대체율을 산출하는 경우 생애에 걸친 연금 급여수준을 과대평가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득대체율 산출방식을 개선하여 근로자와 수급자가 납부하는 세금, 사회보험료, 그리고 연금보험료를 반영한 가처분소득을 기준으로 생애에 걸친 평균 연금소득을 평가해 보았다. 분석결과 국민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에 각각 20년 간 가입한 경우, 가처분소득기준 생애소득대체율은 남·녀 각각 50.7%, 52.4% 수준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은퇴 전·후에 동일한 소비수준을 유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연금보험료는 남·녀 각각 26%, 28% 수준으로 생애에 걸쳐 총소득 대비 54.0%, 54.6%의 소비가 가능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영문 초록

Income replacement rates which shows the ratio of pension amount relative to pre-retirement income is useful as an index to assess the pension benefit level. A lot of studies that use the income replacement rates have been carried out to evaluate the pension benefit level or the income required for post-retirement and income replacement rates was measured by dividing the amount of pension at the time of retirement or during the specific period of retirement with pre-retirement gross income in most advanced researches. But, the pension benefit level could be underestimated when calculating income replacement rates based on gross income because pensioners pay for less income tax than workers or do not pay for social insurance or pension premium. The case of calculating income replacement rates based on the amount of pension at the time of retirement or during the specific period of retirement could be overestimated because the real value of pension falls down as time of benefit passes by, that is, the pensione s get highly-aged. So, in this study, the average annuity income for the life-time was evaluated based on the disposable income that applies taxes, social insurance and pension premium by improving the way of calculating income replacement rates. As the results of analysis, in case of joining national pension, retirement pension and individual annuity each for 20 years, lifetime income replacement rates based on disposable income was estimated as 50.7% for male and 52.4% for female. And pension premium required for maintaining the same level of consumption before or after retirement was estimated as 26% for male and 28% for female. This means that it is possible to consume 54.0%(male) and 54.6%(female) in comparison with gross income.

목차

Ⅰ. 서론
Ⅱ. 소득대체율 개념 및 산출방법
Ⅲ. 우리나라의 연금 가입현황
Ⅳ. 분석가정 및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승희,이항석. (2014).가처분소득기준 생애소득대체율 분석. 리스크관리연구, 25 (3), 113-142

MLA

신승희,이항석. "가처분소득기준 생애소득대체율 분석." 리스크관리연구, 25.3(2014): 113-1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