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연생 코호트생명표 적용을 통한 주택연금의 장수리스크 평가

이용수  0

영문명
Evaluation of Longevity Risk Considering Multiple Cohort Effect in Reverse Mortgage Program
발행기관
한국리스크관리학회
저자명
마승렬 김대환
간행물 정보
『리스크관리연구』28권 4호, 1~35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2.31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세계에서 가장 빠른 인구고령화를 경험하는 우리나라의 경우 공적연금의 노후소득 보장기능을 강화하기란 쉽지 않으며, 사적연금의 역사도 길지 않아 취약한 공적연금을 보완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다행히 우리나라 전체 가계자산 중 실물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70%를 상회하기 때문에 주택연금을 활성화 할 경우 공사연금의 취약한 노후소득보장 기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기대수명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상황에서 주택연금 보증자는 장수리스크에 직면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는 2016년 2월 이후 적용되는 연생모형에 감소하는 사망률과 동일세대효과를 반영하여 현재의 정액형 및 전후후박형 종신지급방식 모두에서 보증자의 장수리스크가 발생 할 수 있으며, 장수리스크의 크기가 상대적 저연령층에서 현저히 크다는 것을 보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른 동일세대효과를 반영해줄 수 있는 대출종료확률과 대출생존확률의 개발을 통해 주택연금 계리모형에 장수리스크를 보다 합리적으로 반영해주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본 연구에서는 주택연금에 가입한 사람의 사망률이 일반 국민의 사망률과 동일하다는 가정하에 이루어진 것으로, 향후 주택연금 가입자의 사망률 자료를 활용해 좀 더 정교한 장수리스크 측정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It is not easy to reinforce the roles of public and private pensions for stable income stream for the older because Korea is facing the fastest ageing population in the world and the public and private pensions have brief history. The reverse mortgage would be able to complement the insufficient retirement income security of public and private pensions since the proportion of real estate assets is over 70% in Korea. However, the indemnitor of the reverse mortgage would face longevity risk as the mortality rate keeps decreasing over time. In this study, we estimate the size of longevity risk faced by the indemnitor of the reverse mortgage by reflecting the decreasing mortality rate over time and cohort effect and show that the size of the longevity risk is grater for relatively younger age group such as 60s in both contentional annuity and thick and think annuity under the joint life policy which was newly adopted in February, 2016. Thus, it is essential to reflect the changing mortality rate over time and cohort effect when it comes to determining size of the monthly annuity in order to manage the longevity risk.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life table for the reverse mortgage to mange the longevity risk more exquisitely than before because in this study we assume that the mortality rate for individuals in the reserve mortgage is same as the general population.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주택연금 계리모형 개관
Ⅳ. 장수리스크 분석모형 및 자료
Ⅴ. 장수리스크 분석결과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마승렬,김대환. (2017).연생 코호트생명표 적용을 통한 주택연금의 장수리스크 평가. 리스크관리연구, 28 (4), 1-35

MLA

마승렬,김대환. "연생 코호트생명표 적용을 통한 주택연금의 장수리스크 평가." 리스크관리연구, 28.4(2017): 1-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