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22년도 형사소송법 판례 회고
이용수 84
- 영문명
- Review on the Supreme Court decisions on Criminal Procedure Law in 2022
- 발행기관
- 한국형사판례연구회
- 저자명
- 이창온
- 간행물 정보
- 『형사판례연구』제31권, 537~627쪽, 전체 91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13,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Reviewing the cases of the Supreme Court decisions on Criminal Procedure Law in 2022, there were many cases related to seizure and search of digital information, following those in 2021. As the Supreme Court is leading the jurisprudence for a new phenomenon in a situation where legislative solutions fall behind, it is expected that many precedents related to this field will continue to be issued for the time being. In addition, a number of judgments worthy of in-depth evaluation were issued in the field of evidence law related to cross-examination and hearsay. The only decision en banc in relation to the Criminal Procedure Law was on the direct appeal to the Supreme Court without a higher court review. This paper has reviewed 21 cases out of 118 decisions in 2022 related to the Criminal Procedure Law. The overall impression I personally feel is that the Supreme Court has been bold and active in breaking with the traditional its own position. In the field of evidence law, the movement to strengthen the principle of parties control and trial-centeredness is gaining more weight, while in the field of search and seizure of digital information and trial procedures, the movement of judicial activism and guardianship for the protection of the accused stands out. In particular, it seems that the Supreme Court does not hesitate to create de-facto legislative matters through precedents in Criminal Procedure which are supposed to be passed by the National Assembly. It seems to be trying hard to make a valid legal theory for a new phenomenon, but the ultimate evaluation of it is somewhat reserved. It seems to be agile and bold in creating new legal principles, but I think it needs a little more consideration for sufficient consistency.
목차
Ⅰ. 서론
Ⅱ. 압수수색절차 분야
Ⅲ. 공소제기 분야
Ⅳ. 증거법 분야
Ⅴ. 판결 분야
Ⅵ. 나가는 글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22년도 형사소송법 판례 회고
- 헌법불합치 결정을 받은 형벌규정의 효력
- ‘실질적 피압수자’ 개념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참고인 진술청취 수사보고서의 증거능력
- 2022년도 형법판례 회고
- 제3자 보관정보 압수․수색 참여권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원격지 서버 압수․수색의 적법성
-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죄에서 ‘직권남용’요건의 판단
- 배임죄에서 ‘경영판단원칙’의 체계적 지위와 역할
- 사기와 책략절도의 구별기준
- ‘명예에 관한 죄’에 대한 최신 판례 및 쟁점 연구
- 지난 10년간(2011~2021) 대법원 형법판례의 변화: 총칙 분야
- 중지미수의 자의성 개념의 비결정성 및 그와 결부된 동기(준법의지)와 장애 요소의 역할과 의미
- 형사판례에서 불법의 의미와 역할
- 정범 없는 공범과 규범적․사회적 의사지배
- 헌법재판에서 형벌규범의 위헌성 심사 기준이 되는 명확성 원칙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