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헌법불합치 결정을 받은 형벌규정의 효력
이용수 19
- 영문명
- The Effect of Penal Provisions by a Decision of Constitutional Nonconformity
- 발행기관
- 한국형사판례연구회
- 저자명
- 이강민
- 간행물 정보
- 『형사판례연구』제31권, 43~6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Supreme Court has taken it that regarding the provisions of the Act on Penalty, the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 of unconstitutionality is a modified decision, but an unconstitutional decision and so the courts should sentence innocence by applying Article 325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because that statutory provision is retroactively invalid, However, when a modified form of unconstitutional decision is made on the penalty clause and the application is ordered by the legislative deadline, the question is how the court should make a judgment. In addition, if the legislative deadline for amendment has passed but the legislation has not been passed, the issue becomes whether to acquit or acquit. Considering the legal vacuum and preventive function of the penal provisions, it is desirable to declare the penal provisions constitutional or unconstitutional. However, the retroactive effect resulting from the decision of unconstitutionality of the penal provisions is not absolute. Therefore, the limitation of retroactive effect can be considered. Considering the cause of the unconstitutionality of the penal provisions, the retroactive effect is recognized if there are inherent limitations of the law itself. However, it is possible to restrict retroactive effects in the case of external and socio-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simply prohibiting excessive legislation. However, penal provisions that have been determined to be inconsistent with the constitution, which are provisionally applied, are still in effect until the legislative deadline. Therefore, in that case, a conviction must be made, and thereafter a judgment of acquittal must be pronounced.
목차
◇ 대상판결: 대법원 2020. 5. 28. 선고 2017도8610 판결
[연구]
Ⅰ. 들어가며
Ⅱ. 헌법불합치 결정의 효력
Ⅲ. 잠정적용 헌법불합치 결정에 따른 형벌규정의 효력 및 법원의 조치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22년도 형사소송법 판례 회고
- 헌법불합치 결정을 받은 형벌규정의 효력
- ‘실질적 피압수자’ 개념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참고인 진술청취 수사보고서의 증거능력
- 2022년도 형법판례 회고
- 제3자 보관정보 압수․수색 참여권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원격지 서버 압수․수색의 적법성
-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죄에서 ‘직권남용’요건의 판단
- 배임죄에서 ‘경영판단원칙’의 체계적 지위와 역할
- 사기와 책략절도의 구별기준
- ‘명예에 관한 죄’에 대한 최신 판례 및 쟁점 연구
- 지난 10년간(2011~2021) 대법원 형법판례의 변화: 총칙 분야
- 중지미수의 자의성 개념의 비결정성 및 그와 결부된 동기(준법의지)와 장애 요소의 역할과 의미
- 형사판례에서 불법의 의미와 역할
- 정범 없는 공범과 규범적․사회적 의사지배
- 헌법재판에서 형벌규범의 위헌성 심사 기준이 되는 명확성 원칙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