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신장애인 가족을 위한 동료가족지원 참여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이용수 238
- 영문명
- A Case Study on Participatory Experience of Peer and Family Support Activities by Families of the Mentally Disabled
- 발행기관
- 사회복지정책실천회
- 저자명
- 한지연 심경순
- 간행물 정보
- 『사회복지정책과 실천』9권 2호, 85~127쪽, 전체 4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7.31
7,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정신질환을 경험하고 있는 가족을 위한 동료가족지원 참여경험에 관한 사례연구이다. 이를 위해 동료가족지원활동에 자발적으로 참여한경험이 있는 가족 8명을 대상으로 개별심층면접을 진행하여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정신장애인 가족을 위한 동료가족지원 참여경험은 4개의 상위주제와 12개의 하위주제, 30개의 구성요소로 도출되었다. 연구결과 정신장애인가족들은 동료가족지원활동을 통해 ‘20년만의 휴식’, ‘고통의 쓸모를 발견’, ‘부모도 자란다’, ‘응원하는 삶’을 통해 가족의 역할과 관점의 변화를 경험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동료가족지원의 활성화 및 정착화 방안을 위한 실천적·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a case research whose purpose was to examine how participatory experience of peer and family support activities was like to families of the mentally disabled. For the goal, the study selected its subjects 8 family members who had voluntarily participated in such activities, and made one-on-one in-depth interviews with them. Through the move, this study could classify the interviewees’statements about participation in the aforesaid activities into 4 categories, 12 sub-categories and 30 factors. As a result, the study found that peer and family support activities changed the subjects in terms of role and perspective, who responded that experience of the activities allowed them to ‘take some break in 20 years’, ‘discover the worthiness of sufferings’, ‘parents grow along with their mentally disabled child’ and ‘live a supportive life’. Based on the result, this study made practical and policy-level suggestions for the promotion and settlement of peer and family support activit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55호 목차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만성질환 노인의 돌봄 수혜경험 : 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