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진성리더십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64
- 영문명
- The Effect of Authentic Leadership on Job Satisfaction: Moderating Effect of Leader Trust
- 발행기관
- K교육연구학회
- 저자명
- 이철우
- 간행물 정보
- 『사회과학리뷰』제8권 제2호, 187~20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조직에서 리더의 진정성이 중요해지면서 진성리더십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진성리더십이 발휘되는 과정에서 진성리더십의 효과성을 조절하는 변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기에 본 연구에서는 진성리더십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서 리더신뢰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방법으로 기업조직 재직자들을 대상으로 360부의 설문지를 회귀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통계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검정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진성리더십은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리더신뢰는 진성리더십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로진성리더십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진성리더십의 영향력을 조절하는 변수로 리더신뢰의 조절효과를 실증하여 진성리더십 연구를 확장시켰다는 점이다. 후속연구로 리더신뢰를 좀 더세분화하여 진성리더십과 성과 변수 간의 영향력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고 집단수준에서도리더신뢰의 조절효과가 나타나는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제안한다.
영문 초록
As the authenticity of leaders becomes more important in organizations, interest in authentic leadership is increasing. In this study, the moderating effect of leader trust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As a research method, 360 questionnaire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regression analysis method targeting employees in corporate organizations.
Looking at the results of hypothesis testing in this study, first, authentic leadership had a positive (+) effect on job satisfaction. Second, leader trust was foun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expanded the research on authentic leadership by demonstrating the moderating effect of leader trust as a variable that controls the influence of authentic leadership in the process of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As a follow-up study,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performance variables by subdividing trust in leader and it is suggested that a study is needed to see if there is a moderating effect of leader trust at the group level.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설정
Ⅲ. 연구방법
Ⅳ. 실증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케냐 니에리 그린빈(Green Coffea Arabica beans in Kenya Nyeri)의 피부노화에 관한 기초자료 연구
- 디지털 리터러시의 인지적 실재감을 활용한 경계선지능 학습자의 학습지원 방안
- 진성리더십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주민공동체의 사회적 자본과 주민참여가 사회적 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 2019 누리과정 개정 후 안전에 대한 교사의 인식 연구
- 대학생의 회복탄력성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자폐’ 관련 전국단위 주요 신문사와 방송사의 보도형태 변화 분석
-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Expansion of the Application Scope of Article 2(1) of the Civil Law
- 보육교사 양성과정에서 PBL을 활용한 아동안전관리 수업모형 개발
- 대면 수업과 비대면 수업에 관한 학습 태도와 수업 만족도 조사연구
- 윤리적 책임 교육을 위한 도덕적 민감성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