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항공사 승무원의 긍정심리자본에 관한 통합적 문헌고찰

이용수  86

영문명
Literature Review on the Psychological Capital of Airline Crews: Focusing on Domestic Studies
발행기관
한국서비스인력개발학회
저자명
박지우
간행물 정보
『서비스HRD』제2권 제1호, 23~63쪽, 전체 4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5.31
7,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에서 항공사 승무원 대상 긍정심리자본에 관한 양적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여, 지금까지 연구의 경향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항공사 승무원을 대상으로 긍정심리자본에 관한 연구가 처음 진행되었던 2012년부터 2022년까지 최근 11년간 국내 학술지를 수집하여 총 21편을 분석하였다. 전체 분석대상 문헌의 연구시기, 주제어, 측정도구와 하위요인을 분석하였고, 변인 간 관계를 고찰하여 긍정심리자본이라는 변인의 역할을 규명하여, 이에 대한 통합적 모델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항공사 승무원을 대상으로 한 긍정심리자본에 관한 국내 양적 연구는 2012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었다. 둘째, 주제어는 어느 한쪽에 편중되어 있지는 않았으며, 리더십, 조직 내 갈등, 개인의 부정적 정서와 관련된 변인이 다수 발견되었다. 셋째, 측정도구는 원문항 그대로 사용되기보다는 연구자의 목적에 따라 일부 문항만 수정되어 연구되는 경우가 많았다. 마지막으로, 긍정심리자본의 변인으로서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긍정심리자본이 매개변인으로 사용된 연구가 10편으로 가장 많았고, 선행변인으로 사용된 연구가 7편이었으며, 조절변인으로 사용된 연구는 5편이었다. 결과변인으로 사용된 연구는 발견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변인 간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전체 영향 관계에 대한 통합 모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of quantitative research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for airline flight attendants in Korea to identify the trends of research so far and to present future directions. Through this process, it was intended to present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for airline flight attendants. To this end, a total of 22 domestic academic journal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over the past 11 years from 2012 to 2022. The research period, subject word, measurement tool, and sub-factors of the entire analysis target literature were analyzed, and the role of the variable calle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as identified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nd an integrated model was present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omestic quantitative research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for airline flight attendants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since 2012. Second, the subject word was often studied along with negative variables such as emotional labor and turnover intention. Third, rather than using the original question as it is, the measurement tool was often studied by modifying only some question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researcher. Fourth, in terms of the role of variables, 10 studies were used as mediating variables, 7 studies we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5 studies were used as regulatory variables. No studies were found used as dependent variables. Finally, in order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n integrated model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was present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지우. (2023).항공사 승무원의 긍정심리자본에 관한 통합적 문헌고찰. 서비스HRD, 2 (1), 23-63

MLA

박지우. "항공사 승무원의 긍정심리자본에 관한 통합적 문헌고찰." 서비스HRD, 2.1(2023): 23-6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