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비와 비율 영역에 대한 우리나라와 싱가포르 교육과정 및 교과서 비교
이용수 4
- 영문명
- Comparison of the Curricula and the Textbooks Concerning the Proportion and Ratio Area between Korea and Singapore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김경희 백희수
- 간행물 정보
- 『학교수학』제12권 제4호, 473~49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IMSS 2007에서 싱가포르는 우리나라에 비해 전반적인 성취도는 낮았지만, 싱가포르가 보여준 우수한 성적은 여러 국가에서 싱가포르의 교육을 연구하는 계기를 만들어주었다. 이 논문에서는 싱가포르가 우리나라에 비하여 높은 정답률을 나타낸 ‘분수와 소수’, ‘비, 비례식, 백분율’, ‘측정’의 3가지 주제 중 ‘비, 비례식, 백분율’의 영역을 비교 분석하였다. TIMSS 2007의 공개문항을 4가지의 평가 목표에 따라 살펴본 후 우리나라와 싱가포르 교과서에서 이를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싱가포르 교과서가 비 개념을 1년 먼저 도입하고 있었다. 둘째, 싱가포르 교과서는 ‘비, 비례식, 백분율’의 주제에 대하여 학년별로 반복 심화하여 다루고 있으며 그 양적인 면에서도 많았다. 셋째, 비 개념의 도입과 정의에 차이가 있었다. 넷째, 비례식을 도입하는 방식이 달랐으며, 싱가포르는 이를 실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는 문제를 많이 제시하고 있었다. 이러한 차이점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적용해 볼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In the TIMSS assessment goal and open TIMSS 2007, Singapore recorded a lower overall achievement level compared with Korea; however, the excellent results shown by Singapore furnished an opportunity for various countries to research into the education in Singapore. This paper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roportion, Proportional Expression, and Percentile” area out of the three topics involving “Fractions and Decimals”, “Proportion, Proportional expression, and Percentile”, and “Measurement”, in all of which Singapore exhibited a higher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than Korea. The paper was able to discover the following differences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how Korean and Singaporean textbooks deal with the open questions of TIMSS 2007 after looking into them according to four assessment goals. First, the Singaporean textbook introduced the concept of proportion one year ahead of the Korean textbook. Second, the Singaporean textbook repeatedly coped with the topic of “Proportion, Proportional Expression, and Percentile” in depth and by academic year, and its volume was larger than that of the Korean textbook. Thir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introduction and definition of the concept of proportion. Fourth, the way of introducing a proportional expression was also different, and the Singaporean textbook proposed many more questions that utilize this expression in ordinary life. Based on these differences, the paper suggested implications that could be applied to the Korean curriculum and textbook.
목차
Ⅰ. 서론
Ⅱ. 싱가포르 교육과정의 이해
Ⅲ. 비와 비율에 대한 교육과정 내용
Ⅳ. 비와 비율 영역의 교과서 비교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수학적 추론과 연결성의 교수 · 학습을 위한 소재 연구
- 우수수업 사례를 통해서 본 초등 수학 교실에서의 의사소통
- 중학교 수학학습부진아의 CAS 계산기를 사용한 활동에서 나타나는 메타인지 활동 분석
- 예비 수학 교사 교육에서 시각적 자료를 이용한 문제 해결 지도 사례
- Non-Textual Elements as Opportunities to Learn: An Analysis of Korean and U.S. Mathematics Textbooks
- 수학 우수아의 통계적 개념 이해도 조사
- 예비교사들의 무작위성 개념 이해 조사
- 비와 비율 영역에 대한 우리나라와 싱가포르 교육과정 및 교과서 비교
- 정사면체 분할 과제에서의 이미지에 기반 한 수학적 사고
- 다문화수학교사교육의 원리와 방법
- '학년군'과 '수학적 과정'을 중심으로 한 외국 수학과 교육과정의 최근 경향 비교 · 분석
- 포함제와 등분제에 따른 나눗셈 의미에 대한 이해 조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